
서울 중구 우리금융그룹 본사. 우리금융 제공
우리금융지주가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조치로 어려움을 겪을 기업과 소상공인을 지원하기 위해 10조 2000억원 규모의 금융 지원에 나선다. 4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 차원으로 보면 총 35조원 규모의 자금 지원을 하는 것이다.
우리금융은 현재 가동하고 있는 2조 9000억원 규모의 수출·협력기업 대상 유동성 지원 프로그램에 더해 향후 7조 3000억원 규모의 관세 프로그램을 추가로 가동할 예정이라고 8일 밝혔다.
현재 우리금융은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지원 강화(2조 3000억원), 무역보험공사 보증서 담보대출 지원(2700억원), 고환율 및 경기침체 취약 소상공인 금융지원 강화(2000억원), 관세 영향 소상공인 특화지원 강화(연간 700억원) 등 4개 프로그램에 2조 9000억원을 투입하고 있다. 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상호관세 발효로 산업 전반에 타격이 상당할 것이란 판단 아래 선제적으로 금융 지원 프로그램 확대에 나선 것이다.
우선 중소기업 특별 보증서 대출 공급에 5000억원을 지원한다. 반도체·자동차 업종 등 지원을 위한 신용보증기금 연계 특별출연을 추가로 실시하고, 상호관세 피해 기업에는 최대 3%포인트의 특별 금리우대를 지원한다. 상호관세 타격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1000억원 규모의 경영 안정 특별지원도 실시한다.
이외에도 수출기업 및 협력기업 금융비용 경감을 위해 6조 7000억원을 지원한다. 상호관세 피해 대기업과 중소기업 금리지원, 5% 초과 금리에 대한 인하 프로그램 활성화, 외환 수수료 최대 5% 우대 지원 등이 해당한다.
이로써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에 피해가 예상되는 기업과 소상공인에 4대 금융지주는 총 35조원 규모의 금융 지원을 실행하게 된다. 지난 7일 KB금융이 8조원, 신한금융이 10조 500억원 규모의 금융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은 앞선 3일 총 6조 3000억원 규모의 긴급 금융지원을 발표한 바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