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투자증권 장애 건수 기준 최다
총 피해 296억… “제재 강화 필요”
한국투자증권이 최근 5년여간 금융권에서 발생한 전산 장애 누적 피해 규모 1위라는 오명을 뒤집어썼다. 단일 사고 기준으로는 2020년 키움증권에서 발생한 전산 오류 사고 피해 규모가 가장 컸다.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의원실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올해 5월까지 금융권(은행·저축은행·보험·카드·증권)에서 발생한 전산 장애는 총 1763건인 것으로 확인됐다. 소비자 배상과 시스템 복구 비용 등을 합산한 피해 금액은 총 295억 432만원에 달했다.
전산 장애로 인한 피해는 증권업계에 집중됐다. 관련 피해액은 262억 8293만원으로 전체의 89.1%를 차지했다. 한국투자증권은 2020년 이후에만 전산 장애로 65억 5472만원의 누적 피해를 기록하며 증권업계는 물론 금융권 전체에서 전산 장애 피해 1위 불명예를 기록했다.
최근 전산 장애로 거래가 정지되면서 투자자들의 속을 태운 키움증권과 미래에셋증권은 단일 사고 피해 규모 기준 1, 2위를 각각 차지했다. 키움증권은 2020년 프로그램 오류로 인한 전산 장애로 47억 669만원의 피해를 냈고 미래에셋증권은 2021년 발생한 전산 장애로 39억 1929만원의 손실을 봤다. 3위는 2022년 25억 2630만원의 피해를 야기한 한국투자증권이었다. 전산 장애 건수 기준으로는 NH투자증권이 42건으로 증권업계 중 가장 많았다.
이처럼 전산 장애로 인해 연평균 수십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최근까지 관련 사고가 이어지면서 감독당국이 제재 강도를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 의원은 “금감원은 전산 장애 다발 회사에 대한 정보기술(IT) 실태 점검을 강화하고, 관련 가이드라인 준수가 미흡한 회사에는 추가 검사 및 제재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5-21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