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농경연, 5월 주요 농산물값 안정세 예측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6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농업관측 5월호’ 보고서를 통해 이달 배추(상품) 도매가격이 10㎏에 7000원으로 1년 전보다 31.5%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저장 배추 재고와 봄배추 생산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는 데 따른 것이다. 대파는 1㎏에 1100원으로 1년 전보다 41.9% 하락하고 평년보다 36.9% 저렴해질 것으로 예측했다. 이날 오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 배추가 진열돼 있다. 2025.05.06. km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지난해 농업소득이 폭염·폭설 등 이상기온 영향으로 1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통계청의 ‘2024년 농가 및 어가경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농가의 연평균 소득은 5059만 7000원으로 전년보다 0.5% 감소했다. 농가소득은 농업소득에 농업외소득, 정부 지원 등 이전소득, 일시적인 비경상소득 등을 모두 더한 것이다.
농가소득은 전년 10.1% 늘어났지만 1년 만에 다시 감소로 전환했다. 지난해 폭염·폭설로 축산가구 피해가 늘면서 농업소득이 14.1% 줄어든 영향이 컸다. 농업외소득(0.7%), 이전소득(6.1%), 비경상소득(5.5%) 등은 모두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농가의 평균 자산은 전년보다 1.3% 늘어난 6억 1618만 5000원이었다. 평균 부채는 4501만 6000원으로 8.3% 증가했다. 영농형태별 농가소득을 보면 채소농가(6.4%)를 제외한 논벼농가(-3.6%), 과수농가(-0.2%), 축산농가(-19.9%) 등이 모두 줄었다. 이상기온의 영향으로 채소 작황은 좋지 않았지만 가격 상승 등으로 채소농가 소득은 늘었다.
지난해 어가의 연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16.2% 늘어난 6365만 2000원이었다. 1963년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다. 증가율은 2001년(17.9%) 이후 최대 폭이다. 어업소득이 2788만 5000원으로 30.2% 늘면서 어가소득을 끌어올렸다. 지난해 김값이 2배 가까이 상승했고 일부 어종 단가도 개선된 영향이라는 것이 통계청의 분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