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오는 29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25일 서울 중구 명동의 모습. 2025.5.25.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한국은행이 오는 29일 수정 경제전망에서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낮출 것으로 예상된다. 사진은 25일 서울 중구 명동의 모습. 2025.5.25. 연합뉴스
새 정부 출범과 함께 경기를 부양하는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감으로 소비자심리가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을 회복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발표한 ‘2025년 5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1.8로 전월(93.8)보다 8.0 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101.8) 이후 7개월 만에 100선을 웃돌면서,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으로 복귀했다. 전월 대비 상승 폭으로 보면 지난 2020년 10월(+12.3 포인트) 이후 최대 폭을 기록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6개 주요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심리지표다. 장기평균을 기준값 100으로 두고 100보다 크면 장기평균보다 낙관적,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라는 의미다.
지난해 11월까지 지속해서 100을 웃돌던 CCSI는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으며 88.2까지 급락한 바 있다. 이후 지난달까지 5개월간 소폭 등락에 그치며 100을 밑돌다 이달 급반등했다.
이에 대해 한은은 새 정부 출범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을 내놨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정치 불확실성이 어느 정도 해소되고 미국 관세정책 등 부정적 요인이 완화되면서 소비자심리지수가 크게 개선됐다”면서도 “향후 경기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보니 실제 본격적인 소비 회복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CCSI를 구성하는 6개 지수 모두 전월보다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향후경기전망(91·+18포인트)과 현재경기판단(63·+11포인트)이 큰 폭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소비자들이 향후 주택가격이 어떻게 변할지 전망하는 심리를 수치화한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11을 기록해 전월보다 3 포인트 오르며 지난해 10월(116) 이후 7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팀장은 “수도권 지역의 가격 오름세가 계속 지속되며 집값 상승세를 전망하는 수요자가 지난달에 비해서 늘었다”고 설명했다.
김예슬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