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커져”… 연내 2%까지 내려갈까

이창용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 커져”… 연내 2%까지 내려갈까

박소연 기자
입력 2025-05-30 00:37
수정 2025-05-30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통위서 ‘2.50% 이하’ 가능성 언급
연말까지 2회 추가 인하 전망 우세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반대 안 해”

이미지 확대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사진공동취재단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금융위기 수준으로 예상된 만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내 2회 추가 인하해 2.00%까지 내려갈 것이란 전망이 우세해졌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9일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성장률 전망이 크게 하향 조정됐기 때문에 금리 인하 가능성이 커진 것은 사실”이라며 “저를 제외한 금통위원 6명 가운데 4명이 3개월 내 2.50%보다 낮은 수준으로 인하할 가능성을 열어 둬야 한다는 의견”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장과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하반기 2회 추가 인하 전망이 늘어나는 분위기다. 한은이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씩 두 차례 더 낮추면 올해 말 기준금리는 2.00%까지 떨어진다. 기준금리 2.00%는 2022년 6월(1.75%)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 총재는 기준금리가 1%대까지 내려갈 가능성에 대해서는 “지금으로서는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석길 JP모건 본부장은 “아직 금리가 긴축적 영역에 있는 것으로 보이고, 국내 경기가 정상 수준을 벗어났을 때 한은이 금리로 경기에 대응할 여력이 있다”며 하반기 2회 추가 인하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안동현 서울대 교수도 “앞으로도 추가 금리 인하를 검토해야 하는 경제 여건”이라고 진단했다.

이 총재는 올해 경제성장률을 0.8%까지 낮추면서도 기준금리를 0.5% 포인트 떨어뜨리는 ‘빅컷’ 대신 이날 0.25% 포인트만 내린 이유에 대해 “시장 불확실성이 큰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너무 빨리 낮추면 부동산 등 자산 가격만 끌어올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올해 상황을 (역시 0.8%의 성장률을 보인) 글로벌 금융위기와 같은 경제위기와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다”며 “시장 유동성이 충분한 상황에서 금리를 너무 빨리 낮추면 경기 부양보다 주택 등 자산 가격으로 유동성이 흐르는, 우리가 코로나19 때 했던 실수를 반복할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최근 1300원 후반대로 내려온 원달러 환율과 관련해서는 ‘비정상의 정상화’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원화가 지난 6개월간 경제 여건에 비해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굉장히 많이 절하됐기 때문에 다른 통화 대비 더 많이 절상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반대하지 않는다”며 “혁신을 위해 한은이 적극적으로 만들어 줘야 할 필요도 있다”고 말했다.
2025-05-3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