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사거리 인근에서 시민들이 출근길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오장환 기자
2023년 직장을 옮긴 임금근로자 10명 중 4명은 임금을 낮춰 이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3년 일자리 이동통계’에 따르면 2022년에서 2023년 일자리를 이동한 223만 6000명의 임금근로자 중 38.4%는 임금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2년 34%에 비해 4%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전반적으로 질 나쁜 일자리로 이동한 비율이 높아졌다는 의미다.
특히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임금을 낮추는 비율이 높아졌다. 임금이 증가한 일자리로 이동한 비율은 29세 이하(64.7%), 30대(63.0%), 40대(60.4%) 순으로 나타났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용시장의 경직화와 인구의 고령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2023년 일자리 유지율은 70.9%로 전년 69.2%에 비해 1.8% 포인트 상승했다. 일자리 유지율이란 특정 연도의 일자리가 다음 연도에도 같은 근로자에 의해 계속 유지된 것을 의미한다. 반면 이동률은 15.1%로 전년에 비해 0.7% 포인트 하락했다. 상대적으로 이직이 줄고,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는 비율이 높아진 것이다.
진입률도 13.9%로 전년에 비해 1.1% 포인트 하락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유지율이 높아진 것은 고용 안정성이 확대된 것을 의미할 수도 있지만, 진입률과 이동률이 함께 감소한 것을 보면 전반적인 고용 시장의 경직이 심화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자 가운데 같은 기업 규모로 이동한 사람은 전체의 72.4%로 나타났다. 중소기업 이동자의 81.3%는 중소기업으로, 12.1%는 대기업으로 이직했다. 대기업 이동자의 37.3%는 대기업으로 자리를 옮겼고, 대기업에서 중소기업으로 옮긴 비율도 56.5%였다.
일자리 이동통계는 사회보험, 국세자료 등 일자리 행정자료에 등록된 15세 이상 근로자(등록 취업자)를 대상으로 작성되며, 사회보험과 근로소득 미가입·미신고 근로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제도권 밖의 취업자는 제외돼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취업자 수와는 차이가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