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 연휴에 ‘여행 물가’ 뛰어
외식 제외한 개인서비스 3.6%↑
잦은 비에 농산물도 상승 전환
“소비쿠폰보다 연휴 영향 컸다”
정부, 김장용 배추·무 추가 공급
뉴스1
쌀값, 1년 전보다 21% 급등
4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쌀 포대가 진열돼 있다. 국가데이터처에 따르면 지난달 쌀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21.3% 올랐다.
뉴스1
뉴스1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4% 오르며, 1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긴 추석 연휴로 여행 관련 물가가 뛰고, 잦은 비로 농산물 가격이 오른 데 따른 결과다.
국가데이터처가 4일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 물가지수는 117.42(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 지난해 7월 이후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이다. 물가 상승률은 지난 6~7월 2%대를 기록한 뒤 8월 1.7%로 꺾였다가, 9월에 다시 2.1%로 올라섰다.
해외단체여행비, 숙박료 등이 포함되는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가 3.6% 올라 전체 물가를 0.72% 포인트 끌어올렸다. 추석 연휴 때 여행 소비가 늘면서 해외단체여행비(12.2%), 승용차 임차료(14.5%), 콘도 이용료(26.4%) 등이 일제히 상승했다. 올 추석 연휴는 7일로 2017년 이후 가장 길었다.
먹거리 물가도 들썩였다. 농·축·수산물 물가가 3.1% 뛰며 전체 물가 상승에 0.25% 포인트 기여했다. 특히 돼지고기(6.1%)와 고등어(11.0%)의 상승 폭이 컸다. 농산물도 1.1% 오르며 한 달 만에 상승 전환했다. 잦은 비로 쌀(21.3%)과 찹쌀(45.5%) 등 곡물 출하 시기가 지연된 영향이다. 과실류(10.9%)에선 사과(21.6%)의 상승 폭이 컸다. 잦은 호우 여파다.
석유류는 4.8% 오르며 8개월 만에 최고 상승 폭을 기록했다. 지난해 10월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한 데 따른 기저효과와 최근 환율 상승 영향이다.
변동 폭이 큰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해 물가 변동의 전반적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근원물가 중 하나인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도 2.5% 올랐다. 지난해 2월 이후 최대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로, 물가 상승의 추세적 흐름을 보여주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2.2% 올랐다. 지난해 7월 이후 최대 폭이다. 이두원 데이터처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소비쿠폰 영향보다는 긴 연휴에 따른 여행 증가 등의 영향이 컸다”고 했다.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는 “지난해보다 낮아진 유가, 여행 서비스 가격 둔화 전망 등을 고려할 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점차 낮아져 연말·연초 2% 내외로 안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무 4만 7500t을 추가 공급하고, 농수산물 할인지원에 500억원을 투입하는 내용의 ‘김장재료 수급 안정 대책’을 발표했다.
2025-11-0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