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웹툰&웹소설’, 참여번역으로 글로벌 공략

네이버 ‘웹툰&웹소설’, 참여번역으로 글로벌 공략

입력 2015-02-17 07:31
수정 2015-02-17 07:3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글로벌 작가 발굴·국내 서비스 개선 지속할 것”

네이버의 첫 번째 사내 독립 기업으로 선정된 네이버 웹툰&웹소설 CIC(Company-In-Company)가 ‘참여 번역’ 서비스로 국내를 넘어 외국 웹툰 독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있다.

17일 네이버에 따르면 웹툰&웹소설CIC는 4일 출범하면서 참여 번역(http://translate.webtoons.com) 서비스를 시작, ‘라인웹툰’이 제공한 영어·중국어·태국어 외의 다양한 언어권 독자들도 ‘라인웹툰’을 즐길 수 있도록 했다.

CIC는 네이버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직원들을 발굴하고 가능성 있는 서비스가 더 큰 성장의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도입한 ‘사내 독립 기업 제도’. 이번 ‘참여 번역’은 CIC 도입 후 적용된 첫 서비스다.

독자 누구나 ‘라인웹툰’에서 제공중인 작품을 직접 번역하고 다른 독자들에게 선보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지난해 12월22일부터 올해 2월3일까지 ‘라인웹툰’의 참여번역 서비스의 비공개시범서비스(CBT)를 진행한 결과, 250명의 독자가 25개 작품, 1천700개 회차의 17만여 개 문장을 18개 언어로 번역했다.

번역된 언어 비중은 인도네시아어(30%), 스페인어(16%), 태국어(15%), 포르투갈어(12%), 중국어 간체(6%), 프랑스어(5%) 순이었다.

네이버는 “현재 ‘라인웹툰’에서 제공중인 작품만 번역 대상이지만 추후 국내 사용자들에게 제공중인 ‘네이버웹툰’ 작품도 번역 대상으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참여 번역을 통해 번역된 문장은 다른 사용자들에 의해서 검토 및 수정될 수 있고 각 회차에는 번역 진행도가 퍼센트로 나타난다.

사용자 평가를 통해 우수 번역자를 선정하고, 우수 번역자를 언어권 번역 매니저나 정식 번역자로 승격하는 시스템도 실험할 계획이다.

네이버는 또 이미 활동하는 자유 번역가들을 영입하는 등 번역 참여자 확대에도 힘을 쏟고 있다.

네이버는 작년 11월 누구나 자신의 작품을 올릴 수 있는 ‘챌린지리그’를 ‘라인웹툰’ 내 개설하면서 1월까지 공모전을 진행하는 등 현지 작가 발굴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현재까지 영어로 약 1천900편, 대만어로 약 600편이 ‘챌린지리그’에 등록됐다.

김준구 네이버 웹툰&웹소설CIC 대표는 “네이버 웹툰이 제공하지 않는 언어권의 독자들은 웹툰을 자체적으로 번역한 뒤 불법으로 유통하는 사례가 많았다”면서 “전 세계의 독자들이 공식 사이트를 통해 자국어로 웹툰을 즐길 수 있도록 참여번역을 기획하게 됐다”고 밝혔다.

한편, 네이버는 지난 9일 ‘네이버웹툰’ 애플리케이션을 앱 전반의 디자인과 사용자 편의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등 매일 620만명이 이용하는 국내 웹툰 서비스 기능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