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를 해제해 건설하는 보금자리주택 3차 사업지구로 광명·시흥,서울 항동,하남 감일 등 5개 지구가 선정됐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 가운데 광명·시흥지구는 분당 신도시급의 대규모 보금자리주택지구가 건설돼 인근 지역 집값 및 분양시장에 적지 않은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는 무주택 서민의 주거안정을 위해 서울 항동,인천 구월,광명·시흥,하남 감일,성남 고등 등 5개 지구를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들 5개 지구는 도심 인근에서 20km 이내에 대중교통 및 광역 교통시설 등 기반시설이 양호해 도심 접근성이 좋으면서 공장,창고 등이 난립해 훼손이 심한 그린벨트 지역이다.
이번에 선정한 3차 보금자리주택지구 5곳은 개발면적이 총 2천116만여㎡에 달한다.이는 1차 시범지구 4곳(806만㎡)이나 2차 지구 6곳(889만7천㎡) 보다 2배 이상 큰 규모다.
국토부는 이번 3차 5개 지구에 2014년까지 총 12만1천300가구의 주택을 짓고 이 가운데 8만7천800가구를 전용 85㎡ 이하의 보금자리주택,나머지 3만3천500가구를 민영 중소형 및 중대형 분양주택으로 공급할 예정이다.
광명·시흥지구는 부지면적이 총 1천736만7천㎡로 분당신도시(1천964만㎡)에 버금가는 ‘신도시급’의 대형 단지다.이는 지금까지 지정한 보금자리주택 1~3차 15곳을 통틀어 최대 규모이기도 하다.
국토부는 이 곳에 총 9만5천가구를 건설하고 이 가운데 6만9천가구를 보금자리주택으로 공급한다.
하지만 광명·시흥지구의 규모와 지구내 토양오염 복원과 군(軍) 철도 이설 등 현안을 감안해 보금자리주택을 2만2천가구만 우선 공급하고,나머지는 내년에 분양할 4차 지구 이후로 2~3례에 걸쳐 순차적으로 분양할 방침이어서 이번 3차에 공급될 보금자리주택 전체 물량도 1,2차때와 비슷한 4만800가구로 줄어든다.
광명·시흥지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규모 단지다.
서울에서는 유일하게 구로구 항동(67만6천㎡)이 포함됐다.총 4천500가구를 건설하고,이 가운데 3천400가구를 보금자리주택으로 공급한다.
하남 감일(170만8천㎡)과 성남 고등(56만9천㎡)지구는 각각 위례신도시와 성남 판교신도시와 인접해 있어 강남권 대체 주거지로 꼽힌다.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