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전국 땅값 1.86% 상승…세종 2.66% 1위

상반기 전국 땅값 1.86% 상승…세종 2.66% 1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9-07-25 22:30
수정 2019-07-26 02: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 상반기 전국 땅값이 지난해 말보다 1.86%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과 광주 등은 전국 평균 상승률을 웃돌 정도로 땅값이 올랐지만, 전체적인 토지 거래량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8.8% 감소했다. 지난해 9·13 부동산 규제 대책 이후 거래 심리가 위축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25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 땅값 상승률은 지난해 상반기(2.05%)보다 0.19% 포인트 감소한 1.86%를 기록했다. 땅값은 2008년 상반기 2.72% 오른 이후 줄곧 1% 안팎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지난해 2.05%나 올랐다가 올 상반기 다시 2년 만에 2017년 상반기(1.84%) 수준의 상승률로 돌아왔다.

땅값이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세종(2.66%)이었다. 광주(2.48%), 서울(2.28%), 대구(2.26%)가 뒤따랐다. 세종시 땅값 상승은 행복도시 내 단독주택지 수요가 늘었고 세종벤처밸리 등 산업단지 인구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광주는 동구 용산지구 개발 등이, 서울은 영등포역사와 신길뉴타운 개발이 땅값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2015년 이후 중국인 토지 매입이 줄어든 제주(0.29%)와 지역 경제가 침체된 경남(0.44%), 울산(0.62%) 상승률은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시군구별로는 SK하이닉스 반도체단지가 조성되는 경기 용인시 처인구가 3.73%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어 3기 신도시 인접 지역인 경기 하남(3.21%)과 도심 주택재개발이 진행 중인 대구 수성구(3.05%) 등의 상승률도 높았다. 반면 현대중공업의 기업 분할로 인구가 유출된 울산 동구(-0.84%)와 지역 경기 침체 타격을 입은 창원 성산구(-0.79%) 등은 내림세를 나타냈다.

상반기 전체 토지 거래량은 약 134만 9000필지(986.1㎢)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18.8% 줄었다. 건축물 부속 토지를 제외한 순수토지 거래량은 약 53만 1000필지로 이 역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감소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9·13 대책 발표 이후 전국의 지가변동률이 안정세를 보이면서 토지 거래는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9-07-2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