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들쑤시는 분양가 상한제

집값 들쑤시는 분양가 상한제

김동현 기자
김동현 기자
입력 2019-09-22 23:02
수정 2019-09-23 02:3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신축아파트 급등… 전세·청약시장 ‘들썩’

이미지 확대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를 시행하겠다고 밝혔지만 서울 아파트값은 12주째 상승세다. 특히 준공 5년 미만 신축아파트의 거래량이 급증하고 가격도 뛰고 있다. 또 ‘로또 청약’에 대한 기대감과 공급 감소 우려가 제기되면서 전세와 청약시장도 뜨겁다. 상한제 도입에 따른 ‘풍선 효과’가 부동산시장의 불안을 키운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와 서울시 부동산정보광장의 올해 아파트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분양가상한제가 언급되기 전인 지난 5월 260건이었던 서울의 준공 5년 미만 신축아파트의 거래량은 7월 710건을 기록해 두 달 만에 2.7배 뛰었다. 전체 아파트 거래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지난 5월 5.92%에서 7월 8.23%로 2.31% 포인트 높아졌다. 집계 중인 8월 거래에서도 9.26%로 상승했다. 분양가상한제로 인한 공급 부족 우려 탓에 ‘신축아파트 쏠림’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여기에 ‘로또 아파트’ 기대와 공급 감소 우려로 무주택자들이 전세로 눌러앉아 청약에만 매달리면서, 전세와 청약시장에 동시 과열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 특히 ‘서울에선 어디라도 당첨되고 보자’는 심리가 강해 상한제 발표 이후 첫 분양이었던 동작구 ‘이수 푸르지오 더 프레티움’은 1순위 평균 청약경쟁률이 203대1을 기록했다.

전세도 심상찮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 16일 기준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04% 상승해 12주 연속 올랐다. 강남의 부동산 관계자는 “정부의 자율형 사립고 폐지 방침과 저금리, 상한제가 뒤엉키며 강남 전세 수요가 느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세종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

이효원 서울시의원 “교사의 AI 활용에 대한 실태 파악 필요···중장기적인 지침 마련할 것”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효원 의원(국민의힘, 비례)이 지난 1일 제332회 임시회 정책국 질의에서 교사의 생성형 인공지능(AI) 활용과 관련한 교육청 차원의 실태 조사 추진을 당부하고, 교육청만의 중장기적 가이드라인 등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해주길 촉구했다. 지난달 교육부는 각 시도 교육청에 교사들이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시 챗GPT 등 생성형 AI를 활용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교육부가 교사의 AI 활용과 관련해 기준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학생부 기재 내용에 대한 최종 책임은 교사에게 있다’고 명시함으로써 향후 AI 활용에 대한 과제를 남겼다. 이 의원은 “AI 활용이 거스를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 됐음에도 아직 교육청은 교육 현장의 AI 활용 실태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며 “교사들이 교육 활동 시 AI를 얼마나 자주 사용하고 어떤 유형으로 어떻게 사용하고 있는지, 하다못해 설문조사를 통해서라도 종합적인 활용 실상을 파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이 의원은 “AI 활용도가 높은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 AI 활용 능력이 뛰어난 교사와 그렇지 않은 교사에 따라 학생부에 기재되는 내용 격차가 클 수 있다”
thumbnail - 이효원 서울시의원 “교사의 AI 활용에 대한 실태 파악 필요···중장기적인 지침 마련할 것”

2019-09-23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