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이익 5조 육박… 사상 최대 기록
재정 건전성 지표 호조 ‘긍정 신호’
상반기에만 2조 규모 자사주 매입
KB·신한, 밸류업 이후 주가 급등
하나·우리, ‘배당 확대’로 주주 환원

지난해에 이어 올해 1분기에도 ‘역대급 실적’을 이어간 KB·신한·하나·우리 등 4대 금융지주들이 밸류업(기업가치 제고)에 박차를 가하자 주가도 덩달아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는 올해 상반기에만 총 2조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하며 밸류업에 속도를 낸다. 올해 1분기 당기순이익만 합산 5조원에 육박하며 분기 기준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데다가, 금융사의 재정 건전성을 평가하는 대표 지표인 CET1(보통주자본비율)이 일제히 상승한 데 따른 것이다. CET1 13%를 초과하고 남은 자본은 배당, 자사주 매입과 소각 등 주주환원에 쓰인다.
지난해 순이익 기준 처음으로 ‘5조 클럽’에 입성한 KB금융으이 오는 15일 소각하는 자기주식은 모두 1206만주로, 매입가 기준 1조 200억원에 달한다. KB금융은 지난 2월 전년 실적 발표 당시 공개한 CET1 비율과 자사주 매입·소각 규모가 시장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주가가 장웅 8% 넘게 급락하며 주주들로부터 뭇매를 맞았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연초 8만 3400원으로 시작했던 KB금융 주가는 3월 말 8만 1000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지난달 30일 자사주 소각 계획을 발표하면서 2일 기준 9만 3200원까지 올랐다.
지난해 4대 금융 중 유일하게 40%가 넘는 주주환원율을 기록한 신한금융도 올 상반기 6500억원 규모 자사주를 매입한다. 1분기 CET1 비율이 기대치를 상회하자, 1분기 실적발표일 당시인 지난달 25일 4만 9650원이던 신한금융의 주가는 지난 2일 5만 1200원까지 오르며 상승세를 탔다. 신한금융은 올해 주주환원율을 42%까지 높여 잡은 상태다.
‘함영주 2기’ 체제를 맞은 하나금융은 ‘주주환원율 50% 달성’이라는 중장기적 목표에 따라 올해 배당 정책으로 연간 배당 총액 1조원 고정, 1분기 주당 906원 지급 계획을 내놨다. 상반기에는 자사주 4000억원을 매입한다. 하나금융의 주가는 1분기 실적발표가 있던 지난달 25일 6만 1200원에서 지난 2일 6만 4100원으로 올랐다.
우리금융은 4대 금융 가운데 유일하게 1분기 순이익 감소를 겪었지만 상반기 자사주 1500억원을 매입하며 주주환원 확대를 꾀하고 있다. 전분기 대비 CET1 비율 상승 폭이 4대 금융 가운데 0.29% 포인트 증가로 가장 개선된 것을 감안해, 주주환원율이 40% 미만일 경우 현금 배당성향을 30% 수준으로 올리고 배당 초과분은 전액 자사주·매입 소각에 활용할 방침이다. 주가 역시 동양·ABL생명보험 인수가 결정된 지난 2일, 전 거래일 대비 0.06% 오른 1만 7720원에 마감하며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
2025-05-0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