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더 골드, 연초 대비 28% 껑충
달러 기반은 약달러에 환차손 우려
“담보 다변화…金 연동 수요 커질 것”

원달러 환율이 1360원대로 떨어져 7개월여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달러 약세가 지속되자 달러 대신 금을 기반으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이 주목받고 있다. 사진은 26일 서울 종로구 삼성금거래소에 골드바가 진열돼 있는 모습. 홍윤기 기자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불확실성과 재정 우려로 약달러 흐름이 이어지면서 달러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의 가치가 덩달아 떨어진 반면 안전자산으로서 금의 매력도는 한층 부각되면서다.
26일 가상자산(암호화폐) 시황 중계 사이트인 코인게코에 따르면 세계 최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테더가 발행한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 ‘테더 골드’(XAUT)의 가격은 이날 오후 3시 기준 3345.94달러(약 457만원)다. 연초(2621.64달러)와 비교하면 27.6% 오른 수치다. 일부 등락은 있었지만 꾸준히 우상향하는 모습이다. 금값이 이렇게 올랐기 때문이다. 시가총액은 8억 2482만 2805달러로 원화 기준 1조원을 넘어섰다. 전날 거래량은 1897만 1598달러로 연초보다 4.6배 뛰었다.
테더 골드는 런던귀금속거래소(LBMA)에서 거래되는 금 1트로이온스(31.1g) 가격에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테더 골드를 실물 금으로 바꿀 수도 있다. 팍소스가 발행한 ‘팍스 골드’(PAXG) 가격도 이렇게 움직인다. 테더는 1분기 실사 보고서에서 약 7t 분량의 실물 금을 스위스 전용 금고에 보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의 수요가 많아지면 그만큼 준비해야 하는 금도 많아지기 때문에 금 가격을 뒷받침하게 되는 구조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결제, 송금을 비롯한 탈중앙화 금융(디파이·DeFi)에 쓰인다.
반면 같은 테더사가 발행한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테더(USDT)는 1달러에 가치가 연동돼 가격이 유지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실제 가치가 같이 하락하는 구조다. 환차익을 노리는 투자자는 손해를 볼 수도 있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이용자들이 환차익을 노리고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투자용으로 거래하기도 한다. 비슷하게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도 향후 경제 상황 등에 따라 투자 수요가 확대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달러 패권을 지키기 위해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에 한해서 힘을 싣고 있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는 “스테이블코인의 기반이 대부분 달러인 상황에서 ‘달러가 과연 계속 안전할 것인가’라는 의문이 제기돼 담보의 다변화가 필요해졌다. 특히 금은 경제 상황에 문제가 생길 때마다 위력을 보여 왔고, 스테이블코인 시장에서도 수요가 커질 것”이라고 했다. 그는 “미국 패권에 반대하는 국가, 자국 통화의 국제시장 신용도가 낮은 국가도 달러의 대안으로 금 기반 스테이블코인을 찾을 수 있다”고 했다. 다만 조재우 한성대 블록체인연구소 교수는 “금은 실물이 있는 한정적인 자산이기 때문에 검증과 보관 면에서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제한적일 수 있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