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 수출액 0.7% 증가…270억 달러 기록
1위는 화장품… 철강·알루미늄은 수출 타격

서울 시내 한 대형상점 화장품 판매장. 연합뉴스
미국의 관세 정책에 대한 수출 중소기업의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올 1분기 수출 품목 중 화장품과 철강의 희비가 엇갈린 것으로 나타났다. 화장품 수출은 전 세계적인 K뷰티 열풍에 힘입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했지만, 철강은 25% 고관세 조치에 수출 직격탄을 맞았다.
중소벤처기업부가 14일 발표한 ‘1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에 따르면 올 1분기 중소기업 수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증가한 270억 달러(약 38조 2500억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1분기에 수출이 증가세로 전환한 이후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반등세를 이어가고 있다.
중소기업 수출 1위 품목은 화장품으로 18억 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자동차는 17억 4000만 달러로 2위를 차지했다. 화장품과 자동차 모두 1분기 역대 최대 수출액을 달성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지난달부터 화장품에도 기본 관세 10%가 부가됐지만, 수출 상위 10개국 중 8개국에서 두 자릿수 증가율을 보이는 등 수출 시장이 다변화한 덕분에 총수출액이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지난 3월 12일부터 발효된 미국의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 조치로 인해 이들 품목의 1분기 수출은 타격을 입었다. 철강 제품은 전년 동기 대비 17.8%, 알루미늄 제품은 7.6% 각각 감소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관세 전쟁의 시작을 알렸던 25% 관세 부과 정책이 철강과 알루미늄 수출 감소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긴급자금과 수출 바우처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완화할 방침이다. 우선 고환율·관세 등 글로벌 통상 리스크 대응을 위해 4000억원 규모의 긴급자금을 추가 공급하고 4조 2000억원 규모의 위기 극복 특례 보증을 신설하기로 했다.
관세 대응과 해외 마케팅을 동시에 지원하는 수출 바우처를 1745억원 규모로 추가 운영해 수출 애로를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수출 중소기업의 신시장 개척과 수출국 다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1000억원 규모의 신시장진출자금도 추가 공급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