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국부펀드 지분이 70%
내년 4분기부터 연 5만대 생산

현대차 제공
지난 14일(현지시간)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HMMME) 공장 착공식에서 박원균(왼쪽부터) HMMME 법인장 상무, 아흐메드 알리 알수베이 HMMME 이사회 의장,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부총재,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산업광물자원부 장관,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문병준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 대리,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 부사장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현대차 제공
현대차 제공
현대자동차가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PIF)와 손잡고 중동 지역에 처음으로 생산 거점을 구축한다. 현대차는 사우디아라비아 내 1위 자동차 브랜드로 도약할 기반을 확보하고, 사우디는 자국의 자동차 산업의 발전을 꾀할 수 있게 됐다.
현대차는 14일(현지시간) 사우디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에서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사우디 산업광물자원부 장관과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 국부펀드 부총재,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현대차 사우디 생산법인(HMMME) 공장 착공식을 열었다. 킹 살만 자동차 산업단지는 사우디 자동차 산업 발전을 목표로 킹 압둘라 경제도시(KAEC)에 신규 조성된 제조 허브다.
HMMME는 현대차가 30%,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가 70%의 지분을 보유한 합작 생산법인이다. 내년 4분기 가동을 목표로 연간 5만대 규모의 전기차와 내연기관차를 혼류 생산할 수 있는 공장으로 건설된다. 다만 생산 차종은 미정이다.
사우디는 중동 전체 자동차 시장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현대차는 중동의 전기차 전환 흐름에 적극 대응하며 시장 점유율을 늘릴 예정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지난해 사우디에서 전년 대비 15.1% 늘어난 19만 9515대를 판매했다. 현지 시장 점유율은 도요타에 이어 현대차와 기아가 각각 2, 3위를 지키고 있다.
사우디 정부는 기존 에너지 중심 산업구조를 제조업, 수소 에너지 등으로 다변화하기 위한 국가 발전 프로젝트인 ‘비전 2030’을 추진 중이다. 현대차와의 협력도 비전 2030에 부응하는 차원이다. 현대차 외에도 최근 들어 미국 전기차 제조사 루시드 등도 사우디에 진출한 바 있다.
장 부회장은 “중동, 북아프리카 등을 고려했을 때 사우디에 공장 설립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며 “고객 친화적인 상품 개발부터 생산까지 현지화를 가속화하는 것이 향후 과제”라고 말했다.
최근 현대차가 미국과 사우디 등에 해외 투자를 발표하면서 오히려 국내 투자가 소홀하다는 우려에 대해 장 부회장은 “해외 투자로 국내 투자가 소외되거나 위축되리라고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룹 차원에서 올해 국내에만 약 25조원을 투자하는데 미국은 4년간 31조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2025-05-16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