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1분기 전체 시장 매출 30% LG, 올레드 TV서 52% 선두 고수 中 업체 3곳, 출하량 기준 땐 31% 삼성·LG 합산 점유율 29.9% ‘추월’글로벌 TV 시장에서 중국 브랜드의 추격이 거센 가운데 삼성전자와 LG전자가 프리미엄 제품을 앞세우며 올해 1분기에도 업계 1위 리더십을 이어 나갔다.
20일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인공지능(AI) TV와 프리미엄 제품군 성장에 힘입어 1분기 매출 기준 세계 판매 1, 2위를 기록했다.
이미지 확대
1분기 세계 TV 시장 점유율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분기 세계 TV 시장 점유율
삼성전자는 전체 TV 시장에서 매출 점유율 30.0%로, 지난해 1분기(29.3%)와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대로라면 지난해에 이어 20년 연속 글로벌 판매 1위를 달성할 것으로 보인다.
LG전자는 지난해 1분기(16.6%)보다 소폭 줄어든 15.0%로 나타났으나 2위 자리를 지켰다. 3~5위는 중국 TV 브랜드인 TCL(13.3%), 하이센스(10.9%), 스카이워스(3.7%) 순으로 나타났다. 다만 출하량을 기준으로 보면 TCL(13.7%)과 하이센스(11.9%), 샤오미(5.4%)를 합한 점유율이 31%로, 삼성전자(19.2%)·LG전자(10.7%)의 합산 점유율을 앞질렀다.
한국 기업들은 고가의 프리미엄 TV 시장 확대에 힘을 싣고 있다. 대표적인 프리미엄 제품으로 꼽히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올레드) TV의 전세계 출하량은 1분기 135만 3000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 증가했다.
올레드 TV 시장에는 LG전자의 독주가 두드러졌다. LG전자는 1분기에만 70만 4400대를 출하하며 전체 시장의 52.1%를 차지했다. 지난해 1분기(62만 6700대)와 비교해 출하량이 12.4% 늘고, 점유율은 0.6% 포인트 증가했다. 삼성전자는 점유율 30.8%로 2위를 차지했으며, 소니가 7.1%로 뒤를 이었다.
특히 고가의 올레드 TV 시장에서는 ‘거거익선’(클수록 좋다) 트렌드가 지속되는 분위기다. 올레드 TV 출하량 가운데 70형 이상 초대형 TV 비중은 15.3%로, 지난해 같은 기간(14.1%)보다 1.2% 포인트 확대됐다.·
신융아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