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광물 지정된 희귀금속
20t 선적… 내년부터 물량 확대
中, 수출 통제해 공급 부족 현상
한미, 자원 안보 협력 강화 기대

고려아연 제공
고려아연 온산제련소 출하장에 안티모니 잉곳(덩어리)들이 쌓여있다.
고려아연 제공
고려아연 제공
고려아연이 희귀금속 안티모니를 미국에 처음 수출했다. 반도체와 방산 등에서 핵심 소재로 쓰이는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기업은 국내에서 고려아연이 유일하다.
고려아연은 지난 15일 부산항에 입항 중인 미국 메릴랜드주 볼티모어행 화물선에 안티모니 20t을 선적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 1월 고려아연이 전략 광물 안티모니를 미국에 수출하겠다고 밝힌 지 5개월 만이다.
안티모니는 연(납) 정광(불순물을 제거한 광석)에 극소량 포함된 금속으로, 물체가 잘 타지 않게 하는 난연제로 주로 사용된다. 국가자원안보특별법에서 정한 핵심 광물 중 하나로 전지와 케이블 피복, 반도체, 방산 물자 등 산업 주요 물자에 폭넓게 사용된다. 지난해 9월 안티모니 최대 보유국이자 생산국인 중국이 수출을 통제하면서 공급 부족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에 고려아연이 수출한 안티모니는 다음달 중 미국 안티모니 수입 업체를 통해 미 방산기업 10여곳에 판매될 예정이다. 안티모니는 ▲철갑 저격탄 제조용 합금 ▲항공우주 분야 솔더(땜납) 합금 ▲잠수함용 밸러스트(선박의 균형을 잡는 추) 제조용 합금 등 방산 물자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 등에도 사용된다.
이번 수출 계약은 단기 계약이지만, 고려아연은 다음 해부터 장기 계약을 체결해 안티모니를 지속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올해 미국 수출량은 100t 규모로 다음 해부터 월 20t, 연간 240t 이상 미국에 수출 물량을 확대할 계획이다. 또 고려아연은 안티모니 수출로 한미 자원 안보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국은 지난해 전체 안티모니 수입량 중 60% 이상을 중국에서 수입할 정도로 중국 의존도가 높다.
고려아연은 2005년 처음 안티모니를 생산한 이후 2014년 생산 시설을 증설하면서 안티모니 사업에 뛰어들었다. 고려아연은 연을 생산하고 남은 불순물에서 순도 99.95%의 고순도 안티모니를 생산하는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생산한 안티모니의 70%는 국내에, 30%는 해외에 판매하고 있다.
고려아연은 올해 생산량을 확대해 늘어난 수요에 맞춰 수출량도 점차 늘릴 계획이다. 고려아연의 올해 1분기 안티모니 생산량은 971t으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안티모니 생산량은 3604t이다. 안티모니 관련 매출도 올해 1분기 59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125억원) 대비 약 5배 늘었다.
2025-06-1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