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쿠팡 일자리 1.5만개 늘었다…국내 경제 기여액은 삼성전자 1위

작년 쿠팡 일자리 1.5만개 늘었다…국내 경제 기여액은 삼성전자 1위

신융아 기자
신융아 기자
입력 2025-06-18 15:55
수정 2025-06-18 15: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삼성전자, 100대 기업 기여액의 10% 차지
쿠팡, 3년간 3조원 투자로 지방 일자리 창출
이미지 확대
쿠팡 1분기 매출 11조5천억원 최대…영업이익 340% 증가
쿠팡 1분기 매출 11조5천억원 최대…영업이익 340% 증가 지난달 7일 서울 시내의 한 물류 캠프에 쿠팡 배송 차량이 주차돼 있다. 2025.5.7 연합뉴스


대기업의 일자리 가뭄이 계속되는 가운데 지난해 쿠팡 일자리 1만 5000여개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경제 기여액은 여전히 삼성전자의 비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기업집단 92개 그룹의 고용변동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들 기업(계열사 포함 3301곳)의 전체 직원 수는 187만 2346명으로 전년 대비 1.8%(3만 3047명) 증가했다. 2023년 3.1%가 증가했던 것과 비교하면 증가폭은 줄어들었다.

고용 인원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쿠팡이었다. 쿠팡은 2023년 8만 4702명에서 지난해 9만 9881명으로 직원 수가 1만 5179명 증가했다. 지방 곳곳에 물류 인프라를 확충하기 위해 3년간 3조원을 투자하기로 하면서 고용이 크게 늘었다. 물류·배송 인력 수요 증가와 함께 비교적 취업 문턱이 낮고 즉시 취업이 가능한 점도 최근 노동시장 상황과 맞아떨어진 결과로 풀이된다.

반면 SK그룹은 11만 4950명에서 10만 8301명으로 1년새 6000명 이상 일자리 줄어들었다. 그룹 차원의 리밸런싱(사업 재편)으로 계열사를 매각하거나 통합하면서 전체적으로 몸집을 줄인 영향으로 분석된다.

92개 그룹의 전체 고용 규모는 우리나라 전체 고용보험 가입자(1536만 4809명)의 12.2%를 차지했다. 그룹별로는 삼성이 28만 476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현대차(20만 3915명), LG(14만 9459명), SK(10만 8301명), 쿠팡 순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1.8 뉴스1
서울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 2025.1.8 뉴스1


한편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의 경제 기여액은 16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가 매출 상위 100대 기업(공기업·금융사 제외)을 대상으로 경제 기여액을 산출한 결과 이들 기업의 기여액은 총 1615조 1783억원으로, 전년(1554조 9360억원) 대비 3.9%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제 기여액은 기업이 경영 활동으로 창출한 경제적 가치의 총액으로, 협력사(거래대금)·임직원(급여 등)·정부(세금 등)·주주(배당 등)·사회(기부금 등)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이 지급한 비용의 합계를 의미한다.

지난해 100대 기업 매출은 2122조 4078억원으로 전년 대비 6.6% 증가했는데, 매출액이 늘면서 경제 기여액도 자연스레 늘어났다는 분석이다. 부문별로는 기부금을 포함한 사회 부문만 전년 대비 3.0% 줄고 모두 늘었다.

기업별로 보면 삼성전자가 단연 1위로, 삼성전자(157조 5376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100대 기업 기여액의 9.8%에 달했다. 2위와 3위는 각각 현대차와 기아가 차지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