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KRX 지수 각 100%·41%↑
미래에셋 181%·키움 110% 껑충
“은행株 추가 상승 여지 커” 분석

코스피가 역대 최고치(종가 기준·3305.21)를 향해 가는 가운데 대표 금융주인 증권주와 은행주가 관심을 받고 있다. 증권주는 정책 기대감이 선반영되며 급등세를 탔지만 실적은 충분하지 않아 고평가됐다는 시각인 반면 은행주는 견조한 실적과 자산 가치 증가를 바탕으로 추가 상승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한국거래소(KRX)에 따르면 KRX 증권 지수는 올 1월 2일 732.46에서 이날 기준 1463.83으로 약 2배(99.85%)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피 상승률(29.35%)을 크게 웃돌았다. KRX 은행 지수는 같은 기간 833.88에서 1172.10으로 40.56% 상승했다.
우선 대형 증권주들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미래에셋증권은 180.82%, 키움증권 110.41%, 한국금융지주 109.90%, 한화투자증권 96.56%, 삼성증권이 76.07% 상승하며 강세를 이끌었다. 새 정부의 상법 개정, 자사주 소각 의무화, 금융자산 확대 등 자본시장 개혁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주가에 반영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다만 실적은 주가 상승폭을 따라가지 못했다. 올해 2분기 주요 5개 증권사(삼성증권·키움증권·NH투자증권·미래에셋증권·한국금융지주)의 합산 순이익은 1조 3459억원으로 전년 대비 15.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2.4%로 목표치(15%)에는 도달하지 못할 전망이다.
KB증권 강승건 연구원은 “급등한 주가를 충분히 설명하기에는 실적이 부족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투자은행(IB) 부문은 대형 거래 부재로 대부분 실적이 정체될 것으로 보인다. 삼성증권의 IB 부문 2분기 순익은 540억원으로 전년 대비 23.9% 감소가 예상되며, 미래에셋증권 역시 110억원으로 45.2%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하반기는 ‘은행주의 시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올 들어 KB금융(34.65%), 하나금융(44.89%), 우리금융(45.19%) 등 주요 은행들이 코스피 상승률(29.35%)을 상회하는 주가 흐름을 보이고 있다. 외국인의 코스피 은행주 보유 비중은 2023년 6월 말 49.1%에서 지난 5월 말 54.9%로 상승한 반면 같은 기간 외국인의 코스피 전체 주식 보유 비중은 31.1%에서 31.4%로 비슷한 수준이다. 키움증권 김은갑 연구원은 “안정적인 실적, 주주환원 확대 기조, 여전히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 등을 감안할 때 은행주의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고 했다.
은행 지수에는 KB금융·신한지주·하나금융·우리금융·기업은행·BNK금융·JB금융·iM금융·제주은행·카카오뱅크 등 10개 종목이, 증권 지수에는 미래에셋증권·키움증권·삼성증권·NH투자증권·한국금융지주·한화투자증권·유진투자증권·유안타증권·대신증권·신영증권·SK증권 등 11개 종목이 포함돼 있다.
2025-06-2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