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경받는 어른 같은 집[노은주·임형남의 K건축 이야기]

존경받는 어른 같은 집[노은주·임형남의 K건축 이야기]

입력 2025-05-07 00:33
수정 2025-05-07 01: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송첨종택 오른쪽 구석에서 바라본 사랑채 측면. 사랑채는 안채와 별개로 떨어져 있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 집의 사랑채는 ‘ㅁ’자 모퉁이에 붙어 있고 대문채로 들어서면 바로 보인다.  노은주·임형남
송첨종택 오른쪽 구석에서 바라본 사랑채 측면. 사랑채는 안채와 별개로 떨어져 있는 게 일반적이지만 이 집의 사랑채는 ‘ㅁ’자 모퉁이에 붙어 있고 대문채로 들어서면 바로 보인다.
노은주·임형남


지난달 21일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가난한 이들을 위한 교회를 강조하며 약자나 소수자, 난민을 포용하고 치우치지 않는 행보로 종교를 초월해 많은 이들에게 존경받았다. 동시대에 그런 어른이 계신다는 건 큰 축복이었다.

권위란 단순히 자리나 힘에서 오는 게 아니다. 사람의 향기가 사람들을 감화시키고 감동을 준다. 사람뿐 아니라 건축물에도 그런 향기가 있고 높은 격조가 있다. 그런 집에는 지은 사람의 마음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우리 선조들은 자기 집에 이름을 붙이고, 그 이름을 자신의 호로 삼기도 했다. 즉 집과 자신을 동일시하며 후손들에게 생각을 전하는 통로로 생각한 것이다. 예전에 지었던 집들을 찾아가면 그 집을 지은 사람을 직접 만날 수는 없지만 그 당시 그분이 어떤 생각으로 살았으며 그 집을 통해 후손들에게 들려주고 싶은 말이 무엇이었는지를 알게 된다.

그런 귀한 말씀들을 한꺼번에 많이 들을 수 있는 마을이 있다. 경북 경주시 안강읍에 있는 양동마을이 대표적이다. 양동마을은 안동 하회마을과 더불어 대표적인 전통 마을이며 양반들이 주민 대부분을 차지했던 반촌(班村)이다. 5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아직도 후손들이 잘 살고 있으며 동네를 만들 때 지은 집들도 여러 채 남아 있다.

이미지 확대
안채 육간 대청으로, 모든 공간들이 배경이 되고 양보해 주는 것 같다.  노은주·임형남
안채 육간 대청으로, 모든 공간들이 배경이 되고 양보해 주는 것 같다.
노은주·임형남


나는 1980년대부터 틈만 나면 그곳을 드나들었다. 시작은 건축을 전공하는 학생으로서 공부 삼아 옛집을 답사하는 일이었다. 여강 이씨 종가인 무첨당과 향단 그리고 월성 손씨 종가인 송첨종택과 관가정 등 뛰어난 건축물을 보는 일도 즐거웠고 건축에 대한 생각, 자연에 관한 생각을 읽고 배울 수 있었다.

그중 송첨종택은 양동마을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집으로, 단순함이 주는 엄정함과 품위가 돋보인다. 그리고 우리나라 옛집 중에서도 가장 오래된 집이다. 지어진 연대로 꼽자면 아산에 있는 맹씨행단이 좀더 먼저 지어지긴 했지만 이제는 사람이 살고 있지 않다.

송첨종택은 성종 15년인 1454년에 손소라는 분이 지었다고 한다. 종손이 살고 계신지라 대문채와 사당채 언저리를 돌기만 하고 안채에 들어갈 수는 없었다. 외곽을 둘러보다 집의 오른쪽 구석에 청청하게 잘 살고 있는 향나무 그늘 아래 앉아 그 집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늘 행복했다.

그러다 몇 년 전 우연히 인연이 닿아 송첨종택 내부에 들어갈 기회가 생겼다. 말하자면 40년 미완의 과제를 마칠 수 있었던 셈이다. 대문채 앞에서 힐끗거리며 내부를 건너다보는 것이 다였는데 드디어 그 안에 들어가게 되었으니 그 감격은 이루 말로 다할 수 없을 지경이었다. 종손 어르신께서는 허락해 줬을 뿐 아니라 안내까지 해 주셨다.

송첨종택은 다른 종갓집처럼 복잡하거나 웅장하지 않으며 단순하기 그지없다. 안채 가운데 마당이 있고 마당의 네 방향을 집들이 둘러싸고 있는 ‘ㅁ’자 형 집이다. 그런 집을 ‘통말집’이라고 부르는데 송첨종택은 통말집의 원형과도 같은 집이다. ‘ㅁ’자 오른쪽 상부 귀퉁이는 집의 안주인이 기거하는 안방이고, 대각선 방향 맞은편인 오른쪽 아래 귀퉁이는 남자들의 공간인 사랑채가 달려 있다. 그리고 그 사랑채는 대문채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다.

보통은 통말집 형태의 안채가 있고 사랑채는 안채와 별개로 떨어져 있거나 붙어 있더라도 ‘ㅁ’과 ‘ㄴ’자가 붙어 있는 형태로 구성되는 게 일반적이다. 그런데 이 집의 사랑채는 ‘ㅁ’자의 모퉁이에 붙어 있으며 대문채로 들어서면 바로 보이는 곳에 있다.

이미지 확대
송첨종택 안채로 들어가는 입구. 위엄 있는 신전 내부로 들어선 것 같은 고요와 정적, 엄숙함이 느껴진다.  노은주·임형남
송첨종택 안채로 들어가는 입구. 위엄 있는 신전 내부로 들어선 것 같은 고요와 정적, 엄숙함이 느껴진다.
노은주·임형남


안채로 들어갔는데 살림집 안마당으로 들어선 것이 아니라 무언가 위엄 있는 신전의 내부로 들어선 것 같은 고요와 정적 그리고 엄숙함이 느껴졌다. 집이 큰 것도 아니고 높다랗거니 구성이 복잡하거나 화려한 것도 아닌데 느껴지는 그 엄숙함은 무엇인지 궁금했다.

마당 오른쪽은 사랑채와 연결되는 쪽마루가 길게 이어지고 고방을 거쳐 상방이 있었다. 왼편은 부엌채와 쪽마루가 달린 작은 방, 안방이 연달아 있었다. 그리고 정면으로는 높다란 기단 위로 육간대청이 널찍하고 높다랗게 앉아 있었다.

정면에서 공간을 모두 빨아들일 것처럼 크게 비어 있는 대청마루는 의외로 가장 단순한 집의 구조인 삼량집으로 구성했다. 삼량집이란 대들보와는 직각으로 지붕의 방향으로 엮이며 지붕의 하중을 받아 주는 도리의 개수가 3개로 구성된 집으로, 비교적 작은 규모의 집에서 쓰는 형식이다. 오량이나 그 이상의 규모가 돼도 이상하지 않을 텐데 종갓집의 규모에는 어울리지 않는 소박한 형식이었다.

도리의 개수뿐만이 아니다. 모든 장식은 생략되고 대청에서 뒤뜰을 향해 난 창인 바라지창도 아주 검박하고 조촐한 판문으로 구성됐다. 찬찬히 둘러보니 마당을 둘러싼 양옆의 날개채도 열리는 문이나 창을 최소화하고 장식도 배제한 채 마치 대청을 향해 조아리며 시립하는 것처럼 서 있었다. 집의 중심 공간인 대청을 위해 모든 공간은 배경이 되고 양보해 주는 것 같다. 그러나 정작 대청은 단순하고 소박하다.

평온하지만 함부로 대들 수 없을 것 같은 위엄이 있다. 존경을 강요하지 않지만 자연스레 모든 사람들이 존경하는 어른 같은 집, 송첨종택은 그런 집이었다.

노은주·임형남 부부 건축가

이미지 확대
노은주·임형남 부부 건축가
노은주·임형남 부부 건축가
2025-05-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