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광장] 술 권하는 공원(公園)/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자치광장] 술 권하는 공원(公園)/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입력 2018-05-29 22:52
수정 2018-05-29 23: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나백주 서울시 시민건강국장
S는 금요일 퇴근 후 친구와 홍대입구역에서 만나기로 했다. 일찍 도착해 주변을 둘러봤다. 예전 경의선 철길이 공원으로 조성돼 멋진 잔디가 깔려 있고 ‘버스킹’하는 그룹도 있어 젊은 분위기가 물씬 풍겼다. 사람들은 여기를 연남동과 센트럴파크를 합쳐 ‘연트럴파크’라고 부른다. 뉴욕 센트럴파크 규모에는 한참 미치지 못하지만 도심지에 쉴 만한 공원이 널찍하게 펼쳐져 있어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그런데 동네 주민들이 강아지랑 아이들과 함께 산책하는 공원 잔디밭에 삼삼오오 모여 술판을 벌이는 사람들을 보면서 인상이 찌푸려졌다. 다들 인근 술집에서 술을 사와 잔디밭에서 먹고 있었다. 술 먹을 생각을 안 하고 왔다가도 옆에서 술 먹는 사람들 때문에 덩달아 술을 사 먹을 수도 있겠다 싶었다. 이러다가는 시민들 뜻을 모아 귀하게 만든 공원(公園)이 사람들에게 술을 권한다는 말을 들어도 할 말이 없겠다 싶었다.

이 이야기는 공원에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을 재구성한 것이다. 실제 공원에서의 음주소란으로 인한 불쾌감을 호소하는 민원이 적지 않다.

새 학기 시즌이면 대학생들이 신입생 환영 모임에서 술 때문에 참변을 당하는 안타까운 보도를 종종 접한다. 음주운전으로 인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6년 4600여명에 이른다. 각종 산재 및 형사 사건에서도 음주 관련 사고 비율이 상당히 높아 음주 폐해를 더 강하게 알리고 이에 대한 대책을 취해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높이고 있다. 그 첫 단추가 바로 음주청정지역이다.

서울시는 도심 속 공원을 ‘휴식을 권하는 공원’으로 만들기 위해 선도적으로 서울숲, 남산공원, 월드컵공원 같은 서울시 직영 공원 22곳을 올해부터 ‘음주청정지역’으로 지정, 운영하고 있다. 공공장소에서의 흡연 금지는 ‘국민건강증진법’에 명시돼 있는데 아직 공공장소에서의 음주를 금지하는 법률조항은 없어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국민의 건강과 안녕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서는 법률에 근거를 두어 경고와 실제 행동 제한에 행정력이 미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서울시는 이러한 공공장소에서의 음주 문제에 관심이 높은 시민단체와 함께 관련 법령 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공공장소 음주 제한에 관한 세부 기준도 만들어 시민들이 스스로 실천하고 이웃에게도 알리는 등의 활동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건 관대한 음주문화에 대한 우리의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는 일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음주가 시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철저히 파악하고 널리 알리는 데 역점을 두려 한다. 또한 대학과 직장에서 음주로 인한 문제 행동을 교정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무엇보다 서로 주의를 기울여 공공장소에서부터 음주가 가진 위험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분위기 조성이 절실하다.
2018-05-30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