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경험의 역설/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경험의 역설/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18-01-14 23:08
수정 2018-01-15 01:4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담배를 피우는 아들에게 가끔 훈계를 한다. 경험해 보니 백해무익하더라, 갈수록 끊기 힘들더라는 등 뻔한 잔소리다. 아이는 자신을 위한 잔소리인 줄 알면서도 반복되니까 슬며시 짜증이 나는 모양이다. “제가 알아서 할게요.”

이쯤 되면 그만해야 한다. 더이상 훈계했다간 역효과만 나기 쉽다. 비슷한 경험이 또 있다. 아이가 고3 때 학교의 야간자율학습을 빼달라고 했다. 교실의 학습 분위기가 안 좋다고 했다. 한 세대를 앞선 아빠로서의 경험상 용납이 안 되는 요구다. 담임 선생님도 난색을 표명했다. 그래도 아이의 요구가 워낙 강한 터라 한 달만 빼주기로 합의를 보았다. 성적이 떨어지면 다시 참여한다는 조건을 달았다. 결과는 아이의 승.

경험은 중요하다. 토머스 칼라일의 말대로 경험은 최고의 교사이기도 하다. 하지만 누군가에게 강요하는 순간 독단과 폭력이 된다. 말끝마다 “내가 해 봐서 아는데”라며 경험을 내세우는 사람이 있다. 주로 아랫사람들과 함께 있을 때다. 이명박 전 대통령도 이 말을 애용했다. 강요된 경험은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박탈할 수도 있다. 모험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경험의 역설이다.

sdragon@seoul.co.kr
2018-01-1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3 / 5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3 / 5
2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