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슬픈 예감은 틀린 적이 없나.’ 평소 슬픔에 무딘 편인데도 슬픈 예감은 틀리지 않는다는 믿음을 갖게 된 건 십대 때 듣고 지금까지 만 번은 들었을 이 노랫말 때문이다. 음악만큼 사람의 무의식에 스며들고 집단의식을 좌지우지하는 예술이 또 있을까. 주문에라도 걸린 듯 가사의 세계관에 동화된다. 끝맺음이 필요한 일 앞에선 ‘여기까지가 끝인가 보오’라는 노랫말이 떠오른다. 결국 찍게 된 마침표가 씁쓸할 때 ‘지나간 것은 지나간 대로’라고 되뇌는 건 내 생각인지 노랫말의 주문인지 헷갈린다.
인생곡 60개만 반복해 듣는다는 유명 작곡가의 루틴을 따라 해 본다. 지금까지 채운 곡들을 보며 내 것이 돼 버린 타인의 취향에 새삼 놀랐다. 중학교 짝꿍이 질리도록 듣던, 그만 좀 들으라고 타박했던 그 노래는 왜 담겼는지. 어느 선배의 애창곡이라 노래방 번호까지 외웠던 곡을 왜 여전히 듣는지. 아이가 차에서 틀던 노래를 언제부터 좋아하게 된 건지. 노래도 전염되는 걸까.
누군가의 흥얼거림에 나도 모르게 목소리를 얹었고, 시간이 지나 인생곡이 됐다. 내가 귀를 열어 들었던 노래가 곧 나였다.
2025-08-28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