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초대공사 박정양이 본 미국/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초대공사 박정양이 본 미국/서동철 논설위원

서동철 기자
서동철 기자
입력 2018-05-09 22:44
수정 2018-05-09 22:4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구전도를 살펴보면, 북아미리가(北阿美利加·북아메리카)주에는 미리견합중국(美利堅合衆國·아메리카합중국)이 있다. 두 개의 큰 산이 있는데, 높이가 동쪽의 알내견니(戞乃堅尼·애팔래치아)산은 6200자, 서쪽의 루옥(鏤玉·로키)산은 1만 7000자다. 강은 미서시서습피(米瑞是瑞拾陂·미시시피)가 가장 길다.’
조선의 초대 주미전권공사 박정양이 쓴 ‘미속습유’(美俗拾遺)의 일부다. 그는 조선 최초로 서양 국가에 상주하는 외교사절이 되어 1888년 1월 9일부터 11월 19일까지 워싱턴DC에 머물렀다. 이 글을 번역해 최근 책으로 펴낸 국외소재문화재재단에 따르면 최초의 서양 견문기로 알려진 유길준의 ‘서유견문’(西遊見聞)보다 1년 먼저 쓴 미국 견문기라고 한다.

‘미속습유’는 모두 44개 항목으로 지리와 역사, 통치 구조의 특징, 경제와 사회, 그리고 다양한 근대적 문물을 소개했다. 국헌(國憲)에서는 입법권, 행정권, 사법권의 3대권(大權)을 언급하면서 원로원(元老院)과 민선원(民選院)의 상·하원 제도와 하등재심원, 중등재심원, 고등재심원의 3심제 사법제도를 설명했다.

박정양은 미국의 복지 정책에 깊은 인상을 받은 듯하다. 복지 시설을 좋은 일을 한다는 뜻에서 선거(善擧)라고 표현했는데, ‘늙은 홀아비와 홀어미, 고아, 자식 없는 노인들, 병들고 의지할 데 없는 사람들을 모두 보살펴 준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두 정부가 먼저 이끌어 인도한 것인데, 한 집이 어질면 온 나라가 어질어진다는 성현의 가르침이 꼭 맞는 말이 아니겠는가’라며 정부의 역할을 강조했다.

박정양 역시 앞서 서구 문물을 접한 사람들처럼 신문의 역할이 인상 깊었다. ‘신문지’라는 제목의 글에서는 ‘비록 전·현직 대통령의 좋은 말이나 나쁜 행동이라도 구애받지 않고 싣는다. 일이 있으면 바로 쓰고 들은 바가 있으면 반드시 적어 내어 조금이라도 숨기거나 포용해 주는 사사로움이 없다’고 했다. 신문이 ‘좋은 풍속을 장려하는 데 일조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는 자신이 파악한 미국의 장점을 조선이 하루아침에 도입해 적용할 수는 없다는 사실도 알고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제도와 문물을 점진적으로 수용하되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절감했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돌아온 박정양은 고종에게 “미국이 부강한 원인은 영토가 광활하거나 재원이 풍부하다는 외형적인 조건보다는 모든 국민이 내수(內修)에 무실(務實)한 데 있다”고 보고했다. 관리와 국민 모두 각자 맡은 일을 충실히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뜻이라고 한다.

dcsuh@seoul.co.kr
2018-05-10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