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 게이츠의 다음 목표는 농업혁명”

“빌 게이츠의 다음 목표는 농업혁명”

입력 2012-01-26 00:00
수정 2012-01-26 04: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마이크로소프트의 창업주이자 자선사업가인 빌 게이츠가 올해 연례 서한을 통해 자신이 운영하는 자선재단의 다음 목표로 농업혁명을 꼽았다고 미 경제전문지 포브스가 25일(현지시간) 전했다.

빌 게이츠는 ‘2012 연례서한’에서 농업부문의 새 연구를 위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에 대한 걱정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게이츠가 운영 중인 세계 최대 자선단체인 ‘빌 & 멀린다 재단’은 이미 생산성 향상에 어려움을 겪는 빈농들을 지원하는데 20억 달러를 지원했지만 게이츠의 연례서한은 360억 달러 규모의 재원을 가진 세계 최대 자선재단의 향후 활동 방향을 공개적으로 설정한다는 의미가 있어 주목된다.

이 재단은 지금까지 250억 달러를 기부했으며, 이중 대부분은 소아마비 근절 등을 포함해 공공보건에 집중됐다.

빌 게이츠는 이번 연례서한에서 농업혁명을 글로벌 보건이나 미국 교육보다 가장 먼저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해까지는 소아마비, 말라리아 등 지구촌 공공보건 문제를 항상 우선적으로 제기했었다.

그는 세계 인구의 15% 정도인 10억명이 농촌에서 극도로 빈곤한 상황에서 매 끼니를 걱정해야하는 고통 속에 살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60년대와 70년대 벼와 보리, 옥수수의 다양한 종자를 개발해 생산량을 늘리고 식량가격을 낮출 수 있게 해준 ‘녹색혁명(Green Revolution)’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게이츠는 “상대적으로 많지 않은 투자만으로도 많은 빈농들에게 가족들을 부양할 수 있는 기회를 주게 되지만 투자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인류 7명 중 한명은 굶주림속에 살아가야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현재 주요 7개 곡물에 대한 농업연구에 개별 국가 차원에서 15억 달러, 몬샌토 등 기업 차원에서 12억달러 등 총 단 30억달러 정도만 투여되고 있다고 안타까워한 뒤 지속적인 농업혁명은 보다 나은 세계를 위한 열쇠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