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먹는 하마’로 전락한 F-35 개발사업

‘돈먹는 하마’로 전락한 F-35 개발사업

입력 2013-03-12 00:00
수정 2013-03-12 13:2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37년까지 3천160억달러 필요, 유지비도 60% 더 들어

차세대 전투기에서 ‘애물단지’로 전락한 F-35 개발사업이 이제는 ‘돈먹는 하마’라는 오명까지 뒤집어쓰게 됐다.

미국 의회 산하 회계감사원(GAO)은 11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F-35 개발 사업을 마무리하는 데 2037년까지 해마다 126억달러(약 13조8천억원)가 필요할 것으로 추산했다.

미국 국방부가 F-35 개발을 완료하고 전투기를 사들이는 데 3천160억달러를 쏟아부을 것이라는 계산에 따른 것이다.

이는 GAO가 당초 기초보고서에서 적시한 연간 예산보다 20억달러나 많을 뿐 아니라 올해 투입된 91억달러 보다도 훨씬 큰 액수다.

국방부 F-35 개발사업 대변인은 기초보고서에는 단일엔진 비용이 포함되지 않아 책정 액수가 적은 것이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F-35가 그동안 눈덩이처럼 불어난 개발비로 골머리를 앓아온 것을 고려하면 장기적으로 수천억 달러가 더 필요하다는 것은 부담일 수밖에 없다.

F-35 사업은 이미 당초 예상보다 70%나 많은 개발비가 투입되면서 ‘역사상 가장 비싼 무기도입 프로그램’이라는 비아냥을 받는 상황이다.

GAO는 “국방조달예산 요구액 가운데 전례 없는 수준”이라며 돈만 먹고 성과는 내지 못하는 F-35 개발사업을 비꼬았다.

여기에 지금 운용하는 전투기보다 유지비가 60%나 더 들어갈 것이라는 점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비판을 부추기고 있다.

국방부는 구매하기로 한 F-35 2천443대를 운용하고 유지하는데 앞으로 30년간 1조달러 이상이 들것으로 추정했다.

2010년 현재 운용된 전투기의 연간 유지비용은 111억달러였지만 F-35 모델은 182억달러가 들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국방부는 물론 F-35 개발단이 유지비용을 줄이려고 안간힘을 쓰는 이유다.

GAO는 보고서를 통해 “힘든 과정과 비싼 대가를 치른 F-35 개발이 지금은 제 궤도로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커다란 난제가 남아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국방부는 물론 록히드마틴도 이제는 F-35가 투입된 비용대비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꼬집었다.

연합뉴스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새날 의원(국민의힘, 강남1)은 지난 6일 서울역사박물관 1층 로비에서 열린 ‘광복 80주년 기념 서울학생필하모닉 여름연주회’에 참석해 도산 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협연 무대를 시민들과 함께했다. 이날 연주회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서울시교육청이 주최하고,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와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가 협연하는 특별 공연으로 기획됐다. 서울시민 누구나 무료로 관람할 수 있는 열린 음악회 형식으로 진행됐으며 서울의 역사적 공간인 서울역사박물관에서 도산 안창호 선생이 작사한 ‘거국가’가 연주되는 뜻깊은 무대가 마련됐다. 이 의원은 “도산 선생이 남긴 애국의 정신과 교육 철학이 오늘의 청소년들에게 음악이라는 언어로 되살아나고 있다”라며 “서울의 중심에서 시민과 함께하는 이번 음악회가, 기억의 울림이자 희망의 시작이 됐다”고 전했다. 서울학생필하모닉오케스트라는 전국 유일의 교육청 직영 학생 오케스트라로 서울 관내 초·중·고 학생 76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016년 창단 이후 매년 정기 공연과 지역 연주회를 통해 서울시민과 예술로 소통해왔다. 도산안창호윈드오케스트라는 도산 선생의 애국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구성된 전문 관
thumbnail - 이새날 서울시의원, 도산의 뜻을 품은 희망의 선율 서울역사박물관을 울리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