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시마사고 당시 방사성물질 인위방출 검토됐다”

“후쿠시마사고 당시 방사성물질 인위방출 검토됐다”

입력 2014-05-22 00:00
수정 2014-05-2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아사히 보도…”실현됐다면 주민들 피폭됐을 수도”

2011년 후쿠시마(福島) 제1원전 사고 당시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한때 원자로 내부의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인위적으로 대기에 배출하는 방안을 검토했다고 아사히신문이 21일 보도했다.

이 같은 사실은 일본 정부의 사고조사·검증위원회의 조사때 요시다 마사오(吉田昌郞·2013년 사망) 당시 후쿠시마 제1원전 소장이 답변한 내용을 담은 청취결과서(일명 요시다 조서)에서 확인됐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요시다 조서에 따르면 도쿄전력은 동일본대지진(2011년 3월11일)으로 후쿠시마 제1원전의 냉각 시스템이 가동중단된 상태였던 2011년 3월14일, 3호기 원자로 내부의 물이 고갈될 위기에 처하자 원자로 내부의 고농도 방사성 물질을 인위적으로 배출하는 ‘드라이 벤트’(dry vent)를 검토했다.

드라이 벤트는 원자로 격납 용기 내부의 압력이 급상승한 경우 격납용기 파괴를 막기 위해 용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직접 배출하는 조치다. 이 경우 격납용기 내부의 고농도 방사성 물질이 대기중으로 유출되기 때문에 주민들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특히 그 시점에 일본 정부가 국민들의 혼란 가중을 우려, 도쿄전력에 3호기 상황을 언론에 알리지 말도록 ‘정보통제’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만약 드라이 벤트 조치가 실제로 실행됐을 경우 후쿠시마 등지의 주민들은 위험을 사전 인지하지 못한 채 피폭될 수 있었던 셈이다.

하지만 도쿄전력이 주민들의 예상 피폭량 등을 산출하며 검토를 하고 있던 와중에 3호기에서 수소폭발이 일어나 격납용기내 압력이 낮아지면서 결과적으로 드라이 벤트를 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활용에 대한 구체적 계획이 없어 예산낭비다.
지역 정체성 홍보를 위해서 꼭 필요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