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에 억류됐다가 약 31개월(2년 7개월)만에 자유의 몸이 된 캐나다 국적의 임현수 목사가 예배에서 북한에서의 억류 생활 일부를 소개했다. 북한에서 적대 행위로 무기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던 임 목사는 지난 9일 병보석으로 풀려났다.
이미지 확대
북한에서 석방된 임현수 목사 북한에 억류됐다 31개월 만에 풀려난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13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의 큰빛교회 일요예배에 참석해 말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북한에서 석방된 임현수 목사
북한에 억류됐다 31개월 만에 풀려난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13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의 큰빛교회 일요예배에 참석해 말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임 목사는 13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에 있는 큰빛교회 일요예배에 참석해 석방 후 처음으로 공개적인 장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그는 2015년 1월 북한 취약계층 지원을 위해 북한 나선시를 방문하고 이튿날 평양에 들어갔다가 북한 당국에 의해 체포돼 같은 해 12월 ‘국가전복’ 혐의로 무기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억류 생활을 해왔다.
그는 자신이 석방된 일에 대해 “아직도 꿈만 같다”면서 “이는 모두 신의 은총”이라고 말했다. 임 목사는 “억류 첫날부터 석방될 때까지 혼자 고독하게 2757끼를 혼자서 먹었고, 언제 어떻게 역경이 끝날지 알기 어려웠다”고 전했다.
이어 “북한에서 겨울에도 너비 1m, 깊이 1m의 구덩이를 파야 했다”면서 “땅은 꽁꽁 얼어 있었고, 진흙땅이 너무 단단해 구덩이 하나를 파는 데 이틀이 걸렸다. 상체는 땀으로 흠뻑 졌었지만 손가락과 발가락은 동상에 걸렸다”고 회고했다.
앞서 북한 검찰은 임 목사에게 사형을 구형했다. 하지만 재판에서 무기노동교화형을 선고받은 일에 대해 임 목사는 “그것은 신의 은총이었고, 나에게 큰 평화를 주었다”고 회상했다.
이미지 확대
31개월 만에 되찾은 웃음 북한에 억류됐다 31개월만에 풀려난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13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의 큰빛교회 일요예배에 참석해 환한 웃음을 짓고 있다.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31개월 만에 되찾은 웃음
북한에 억류됐다 31개월만에 풀려난 한국계 캐나다인 임현수 목사가 13일(현지시간) 캐나다 온타리오주 미시소거의 큰빛교회 일요예배에 참석해 환한 웃음을 짓고 있다. AP 연합뉴스
임 목사는 억류 기간에 북한에 관한 100권의 책을 읽었고, 또 영어와 한글로 된 성경을 다섯 번이나 읽고 700개의 성경 구절을 메모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70년 역사의 북한을 깊이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을 하는 동안에서 쉼 없이 기도했다. 여러 어려운 순간이 있었지만 신께서 이겨낼 힘을 주셨다”면서 “낙담과 분개의 순간이 있었지만 이는 곧 용기와 환희, 감사로 변했다”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서울시 마스코트 ‘해치’가 탄생 1주년을 맞이했다. 전세계 지자체 마스코트 중 가장 유명한 일본 구마모토현의 ‘쿠마몬’도 올해로 14살을 맞이했다. 우리나라 지자체들도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마스코트를 앞다투어 만들고 교체하고 있다. 이런 지자체의 마스코트 제작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