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의 악수… 트럼프 ‘공격형’ vs 김정은 ‘친밀형’

세기의 악수… 트럼프 ‘공격형’ vs 김정은 ‘친밀형’

김규환 기자
입력 2018-06-11 23:38
수정 2018-06-12 02: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2일 첫 북·미 정상회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맞잡을 ‘세기의 악수’가 주목된다.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만남이 냉전시대의 마지막 고리를 끊는 비핵화 담판이라는 점에서 한때 “말귀 어두운 늙다리”(김정은),“미치광이”(트럼프)라는 ‘말 폭탄’을 주고받으며 난타전을 벌였던 두 정상의 악수는 역사적으로 큰 상징성을 띤다.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폐막한 지난 9일(현지시간) 김 위원장과의 만남에 대해 “어떤 사람을 좋아하게 될 지는 5초면 판가름난다”며 비핵화의 진정성을 가늠하는 데도 “1분 이내에 알아차릴 수 있다. 나의 촉각, 내 느낌…그게 내가 하는 것”이라고 단언했다.

두 사람의 첫 대면에서 어떤 형태의 악수를 나눌지도 관심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각국 정상을 만날 때마다 악력을 과시하는 공격적 악수를 통해 상대의 기를 꺾는 것으로 유명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악수에 김 위원장이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정상회담 분위기를 좌우할 수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을 만날 때 상대방이 아플 정도로 힘껏 손을 움켜쥐거나 낚아채는가 하면 손등을 두드리고, 심지어 내민 손을 외면하기도 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악수할 때는 19초 동안 손을 잡고 놓지 않은 채 다른 손으로 손등을 쓰다듬어 뒷말을 낳았다. 사사건건 대립하는 앙숙 관계인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는 “악수할까요”라며 손을 내미는 메르켈의 말을 못 들은 척 외면해 결례 논란을 불렀다. 지난해 29초간 힘겨루기 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던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과는 이번 G7 정상회의 때도 얼굴을 찡그리고 손등에 엄지손가락 자국이 남을 정도로 손을 꽉 잡으며 또 한 번 ‘일전’을 치렀다.

이에 비해 김 위원장의 악수 스타일은 평범한 편이다. 문재인 대통령과의 남북 정상회담이나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의 북·중 정상회담에서 악수는 평이했지만 포옹을 통해 친밀감을 드러냈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2018-06-12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
1시간 미만
1시간~2시간
2시간 이상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