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순수 전기 픽업트럭 R1T가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광장에 전시돼 있다.뉴욕 AP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전기차 스타트업 리비안의 순수 전기 픽업트럭 R1T가 1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타임스스퀘어 광장에 전시돼 있다.뉴욕 AP 연합뉴스
‘제2의 테슬라’로 불리는 미국 전기차 회사 리비안이 나스닥 상장 5거래일 만에 글로벌 자동차 업계 시가총액 3위에 안착했다. 반대로 테슬라는 자사주 추가 매각 의사를 내비친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의 발언에 전날 장중 한때 시총 1조 달러(약 1180조원)가 붕괴됐다.
리비안은 16일(현지시간) 기준 전날보다 15.16% 오른 172.01달러(약 20만 4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상장 이후 불과 5거래일 만에 공모가(78달러)의 두 배 넘게 뛰었다. 글로벌 시총 분석사이트 컴퍼니스마켓캡에 따르면 리비안 시총은 1519억 5000만 달러(약 180조원)로 3위를 기록했다. 4위 독일 폭스바겐(1395억 2000만 달러)과 5위 중국 BYD(1316억 3000만 달러)를 제쳤다.
반면 테슬라 주가는 뉴욕 증시에서 전날 장중 한때 900달러대로 밀리며 시총 1조 달러가 무너졌으나 1013.39달러에 장을 마감해 가까스로 ‘천슬라’와 시총 1조 달러를 지켜냈다. 머스크 CEO는 9억 3000만 달러(약 1조 1000억원)어치의 주식을 추가로 팔았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 6일 테슬라 보유 지분 10% 매각 여부를 묻는 돌발 트윗을 올린 뒤 8일부터 닷새 연속으로 69억 달러 규모의 테슬라 주식을 처분했다.
리비안의 가파른 성장세에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테슬라보다 전기차 개발의 초기 단계에 있고 아직 수익이 없지만, 투자자들은 리비안의 성장 잠재력에 끌리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 최대 온라인 상거래 업체 아마존은 2030년까지 리비안의 전기차 10만대 구매 계획을 밝혔고, 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는 최근 전기차 전환을 촉진하기 위해 구매 보조금 75억 달러를 배정했다.
윤연정 기자 yj2gaz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글로벌 AI 서비스 업체들이 성적인 대화, 성애물 등 ‘19금(禁)’ 콘텐츠를 본격 허용하면서 미성년자 접근 제한, 자살·혐오 방지 등 AI 윤리·규제 논란이 한층 가열되고 있다. 챗GPT 개발사인 오픈AI도 ‘GPT-4o’의 새 버전 출시 계획을 알리며 성인 이용자에게 허용되는 콘텐츠 범위를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19금 대화가 가능해지는 챗GPT에 대한 여러분은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