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라 “접종 설득도 기억도 쉬워”
CNN “팬데믹 지나 엔데믹” 관측


코로나19 화이자 백신 접종을 받는 모습 자료사진. 뉴스1
불라 CEO는 이스라엘 N12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코로나19 부스터샷을 4~5개월마다 매번 맞아야 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좋지 않은 시나리오”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1년에 한 번 접종하는 백신이 바람직하다. 1년에 한 번이면 접종을 설득하기도, 기억하기도 쉽다”고 말했다. 이는 화이자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의 중증진행률·사망률은 크게 낮춰 주지만, 감염 자체를 막는 효과는 높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 데 따른 언급으로 풀이된다.
한편 오미크론 감염자가 전 세계적으로 절반이 넘으며 인류 상당수가 면역력을 갖게 되고, 독감처럼 코로나19가 계절성 질환이 되는 엔데믹(토착병) 단계가 도래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CNN은 이날 “지난해 11월 오미크론이 출현하며 세계가 최악의 상황을 두려워했지만, 두 달이 지난 지금 이런 우려가 다소 바뀌었다”면서 “2020년 코로나 사태 이후 처음 세계 감염병 전문가 및 각국 지도자들은 코로나19가 엔데믹 상태로 옮겨 가고 있을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엔데믹은 어떤 질병이 지속적으로 존재하지만 팬데믹처럼 대규모로 감염을 일으키지 않고 사회의 각 기능이 작동하는 데 차질을 일으키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실제로 덴마크와 영국, 스페인, 프랑스 등 유럽 일부 국가들이 방역규제 해제 또는 완화에 나섰다.
런던 위생열대의학대학원의 데이비드 헤이먼 교수는 “내 개인적 견해는 다른 코로나바이러스가 그랬던 것처럼 코로나19가 엔데믹이 되고 있으며 당분간 엔데믹으로 머물리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2022-01-2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