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토 정상회의 홍보자리서 국가명 실수
“나토 확대 열망 탓” 해명에 폭소
“79세 고령탓...자격부족” 비난도
“맙소사, 내가 방금 스웨덴이 아니라 ‘스위스’라고 했나요? 나토(북대서양조약기구) 확장에 대한 열망이 컸나 보네요.”6월 30일(현지시간)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정상회의 성과를 홍보하는 자리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최근 중립 노선을 포기하고 나토 회원국 가입을 신청한 스웨덴을 스위스로 지칭해 화제다. 나토 동진을 막겠다며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로 인해 되레 안보 불안을 느낀 핀란드와 스웨스가 나토에 합류한 상황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또다른 중립국 스웨덴을 거론한 것을 두고 ‘계산된 농담’인지, ‘우연적인 실수’인지 해석이 분분하다.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30일(현지시간) 열린 나토 정상회의마드리드에서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발언하고 있다. 마드리드 AP 뉴시스
이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던 바이든 대통령은 “핀란드 대통령이 우리가 스위스 지도자와 통화할 것을 제안했죠. 오 ‘스위스’라니, 맙소사! 제가 실수했군요”라고 말하며 웃었다. 뜬금없이 소환된 중립국 스위스의 이름에 참석자들 사이에 폭소가 터졌다. 스위스는 오랜 중립국으로 국민 절대다수가 나토 가입에 반대하는 입장이다.
바이든의 말실수에 대한 의견은 엇갈린다. 일각에선 나토 확대에 대한 그의 의지가 강렬하다는 점을 보여주려는 의도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텔레그레프 등 외신들은 바이든의 잦은 말실수를 언급했다. 단순 실수였을 수도 있다는 의미다.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작년에 바이든 대통령은 러시아와 잠재적인 협력 분야에 대해 이야기할 때에도 리비아와 시리아를 혼동했다. 이때문에 공화당은 “이런 말실수만 봐도 79세의 나이가 자유 세계의 지도자가 되기에 부적합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