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틴, 러시아 재벌들 앞에서 G7 조롱
경제성장률 언급하며 브릭스와 비교
트럼프와 통화선 ‘무늬만 휴전’ 합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최대 재계 이익단체인 ‘러시아 산업·기업인 연맹’(RSPP) 회의에서 “지도에서 잘 보이지도 않는다”라며 주요 7개국(G7)을 조롱하고 있다. 2025.3.18 리아 노보스티 화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공식 석상에서 주요 7개국(G7)을 대놓고 조롱했다.
타스, 리아 노보스티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최대 재계 이익단체인 ‘러시아 산업·기업인 연맹’(RSPP) 회의에서 “지도에서 잘 보이지도 않는다”라며 G7을 겨냥했다.
한국경제인합회 격인 RSPP는 이날 모스크바에서 34번째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푸틴 대통령은 G7이 ‘빅7’이라고 불리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말했다.
그는 “2024년 유로존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9%였다는 걸 상기시켜드리겠다”라며 “빅7(G7)이 왜 큰 건가? 불분명하다”라고 지적했다.
푸틴 대통령은 “거기서 뭐가 큰 건가? 어디를 봐도 모르겠다. 지도에서 보이지도 않는다”라며 마치 돋보기를 끼듯 손가락으로 만든 안경을 눈에 갖다 대기도 했다.
러시아 재벌들 사이에서는 웃음과 박수가 터져 나왔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은 신흥경제국 연합체인 브릭스(BRICS)와 G7 국가의 GDP를 비교해 언급했다.
유럽중앙은행(ECB)에 따르면 2024년 유로존 20개국 실질 GDP 성장률은 실제 0.9%에 그쳤다. G7 국가의 GDP 성장률도 1.9%에 불과했다.
반면 러시아의 지난해 GDP 성장률은 예상을 깨고 4.1%를 기록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18일(현지시간) 러시아 최대 재계 이익단체인 ‘러시아 산업·기업인 연맹’(RSPP) 회의에서 “지도에서 잘 보이지도 않는다”라며 주요 7개국(G7)을 조롱하고 있다. 2025.3.18 리아 노보스티 화면
G7은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일본 등 세계 주요 선진국 모임이다. 한때는 러시아까지 G8이었으나, 2014년 크림반도 합병과 함께 러시아가 그룹에서 퇴출당하며 G7이 됐다.
푸틴 대통령은 그간 G7과 여러 차례 마찰을 빚어왔다.
특히 2018년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G7 정상회담에서 러시아의 시리아 개입, 우크라이나와의 갈등을 문제 삼으면서 러시아와 G7 간 거리가 더욱 벌어졌다.
대신 푸틴 대통령은 브릭스와의 접점을 넓혀나갔다.
작년 10월 모스크바에서 열린 ‘브릭스 비즈니스 포럼’에서도 푸틴 대통령은 세계 GDP에서 브릭스 국가들의 비중이 선진국으로 구성된 주요 7개국(G7)의 비중을 이미 넘어섰다고 강조했다.
그는 “1992년 세계 GDP에서 G7의 비중은 45.5%였고 브릭스 국가들의 점유율은 16.7%였다. 2023년엔 브릭스의 비중은 37.4%, G7은 29.3%를 차지한다”라며 “그 차이는 벌어지고 있고 계속 벌어질 것이며 이는 불가피하다”라고 주장했다.
푸틴 대통령은 “브릭스 국가들의 평균 경제성장률은 4%로 전망된다”라며 “이는 1.7%에 불과한 G7 국가들의 예상치 평균보다 높다. 세계 평균은 3.2%로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자료사진
한편 푸틴 대통령은 이날 RSPP 회의 참석 직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하고,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모두 30일간 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격을 중단하는 데 합의했다.
다만 앞서 미국이 제안했던 ‘30일간 전면 휴전안’을 놓고는 푸틴 대통령이 사실상 반대 입장을 굽히지 않음에 따라 사실상 ‘무늬만 휴전’에 그쳤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