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리스 전역에서 공분을 사고 있는 아디다스의 드론쇼 영상. 인스타그램 캡처
아디다스가 그리스의 자존심이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아크로폴리스를 운동화로 짓밟는 듯한 모습을 드론쇼로 연출해 그리스 정부가 법적 대응에 나섰다. 세계적 문화유산을 상업적으로 이용한 이 광고는 그리스 내에서 격렬한 비판을 불러일으키며 정치적 논쟁으로까지 확대됐다.
영국 가디언 등 외신은 그리스 정부가 아디다스의 드론쇼 캠페인에 대해 법적 대응에 나섰다고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논란이 된 드론쇼는 아디다스가 수백 대의 드론을 띄워 기원전 5세기에 건립된 아크로폴리스를 배경으로 운동화 형상을 연출한 것으로, 지난 15일 아테네 도심 차피온 컨퍼런스 센터에서 진행됐다.
그리스의 리나 멘도니 문화부 장관은 “법적 절차가 지켜지지 않았다”며 “아디다스 신발이 아크로폴리스를 차는 듯한 이 매우 나쁘고 극도로 불쾌한 이미지에 대해 소송을 제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멘도니 장관은 아크로폴리스를 배경으로 활용한 이 영상이 그리스의 소중한 고고학적 유산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을 위반했다고 강조했다.
이에 아테네 검찰은 아디다스가 드론쇼에 필요한 허가를 어떤 경로와 절차로 취득했는지에 대해 전면 조사에 착수했다. 그리스 문화부와 재무부는 유럽연합(EU) 항공 규정에 따라 관련 허가권을 가진 민간항공국에 공식 해명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아디다스는 “필요한 모든 허가를 받았고 이를 준수했다”며 “아크로폴리스 유적의 이미지를 광고나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반박했다.
중도좌파 성향의 야당 범그리스사회주의운동(파속)은 이번 논란을 정치적 쟁점으로 확대하며 중도우파 성향의 정부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문화와 민주주의의 세계적 상징인 아크로폴리스가 단순한 상업광고의 배경으로 취급되어선 안 된다”며 현 정부의 문화재 관리 태만을 규탄했다.
좌파 정당 시리자 역시 가세해 “드론으로 연출한 스포츠 신발이 아크로폴리스를 ‘짓밟는’ 모습은 그리스 문화유산의 정수를 모독하고 상품화한 행위”라며 거센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그리스의 국보급 명소인 아크로폴리스 관리 문제는 특히나 현지에서 예민한 사안으로 꼽힌다. 파르테논 신전의 대리석 조각상을 비롯해 이곳에서 반출된 수많은 문화재를 둘러싼 국제적 논쟁이 수세기 동안 지속되고 있다.
얼마 전 그리스 문화부는 세계적 명성의 오스카상 수상 감독 요르고스 란티모스가 신작 ‘부고니아’의 일부 장면을 아크로폴리스에서 촬영하고자 한 공식 요청을 전격 거부해 문화계에 파문을 일으켰다. 문화부는 란티모스 감독이 구상한 아크로폴리스 장면이 “이 고대 유적이 지닌 숭고한 역사적 가치와 문화적 정신에 어울리지 않는다”며 허가를 내주지 않았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