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흙먼지 마셨다가 곰팡이 포자가 뇌까지 침범”…‘이 병’에 비상 걸린 美 캘리포니아

“흙먼지 마셨다가 곰팡이 포자가 뇌까지 침범”…‘이 병’에 비상 걸린 美 캘리포니아

김성은 기자
김성은 기자
입력 2025-08-21 22:00
수정 2025-08-21 22: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른바 밸리열 감염을 일으키는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 곰팡이의 균사. 위키미디어커먼스
이른바 밸리열 감염을 일으키는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 곰팡이의 균사. 위키미디어커먼스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흙먼지에 포함된 곰팡이 포자를 들이마셔 걸리는 이른바 ‘밸리열’(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 감염자가 2000년 이후 1200% 급증해 당국이 경고에 나섰다. 이 병은 심한 경우 폐를 넘어 뼈와 뇌까지 퍼져 생명을 위험하게 만들 수 있어 현지에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뉴욕포스트 보도에 따르면, 캘리포니아주는 올해 들어 지난 7월까지 밸리열 환자가 6761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현재 추세라면 연말까지 지난해 기록인 1만 2595명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2000년 당시 연간 환자 수가 1000명에도 미치지 못했던 밸리열은 현재 매년 약 80명의 사망자와 1000여 명의 입원 환자를 발생시킬 만큼 심각한 상황으로 치달았다. 지역 보건당국은 감염 사례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주민들에게 주의를 당부했다.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대(UCLA) 병리학과 분자미생물학 및 병원체 유전체학 책임자인 숀 양 박사는 이런 증가를 캘리포니아에 흔해진 따뜻하고 습한 겨울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양 박사는 “이렇게 습하고 건조한 날씨가 반복되면 곰팡이가 자라기에 완벽한 환경이 조성된다”고 말했다.

밸리열은 지역명을 딴 병명이다. 캘리포니아 중부 샌호아킨 밸리에서 최초로 발견됐다. ‘콕시디오이데스 이미티스’와 ‘콕시디오이데스 포사다시이’ 등 두 종류 곰팡이가 원인이다.

이 곰팡이는 샌호아킨 밸리는 물론 애리조나 사막, 네바다, 유타, 뉴멕시코, 텍사스, 워싱턴주 일부와 멕시코 북부, 중남미 지역 흙 속에서 발견된다.

곰팡이의 극미세 포자가 바람에 날리면 공중에 떠다니게 되는데 이를 호흡기로 흡입할 경우 밸리열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밸리열 감염자 상당수는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다만 일부 환자는 곰팡이에 노출된 지 1~3주가 지나 독감 같은 증상을 경험하게 된다.

초기에 완치되지 않으면 폐렴으로 번지거나 온몸으로 감염이 퍼지는 전신 콕시디오이데스 진균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는 감염이 폐를 넘어 신체 전반으로 퍼진 위험한 상태로, 피부와 뼈, 관절은 물론 뇌까지 침범해 생명을 위협한다.

밸리열을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기본 수칙만 지켜도 감염 가능성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분진이 많은 실외 활동 때는 마스크 착용이 필수이며, 공사 현장이나 농업 지역 근처에서는 더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바람이 거센 날은 야외 활동을 피하고, 흙을 만지거나 정원일을 할 때는 보호 장비를 반드시 갖춰야 한다.

밸리열 발생 지역을 여행한 후 독감 유사 증상이 7일 이상 지속된다면 지체 없이 의료기관에 방문해 검사받는 것이 좋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