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이통사, ‘범죄 악용’ 이유로 삼성폰 킬스위치 퇴짜

美이통사, ‘범죄 악용’ 이유로 삼성폰 킬스위치 퇴짜

입력 2013-11-20 00:00
수정 2013-11-20 16: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샌프란 검찰 ‘단말기 보험 수익에 눈멀어’ 비판…한국서는 내년 장착

미국 이동통신사들이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도난방지 장치(킬 스위치)에 퇴짜를 놨다.

킬 스위치(kill switch)는 고객이 휴대전화를 도둑맞거나 잃어버리면 해당 단말기를 다시 쓸 수 없도록 원격으로 완전히 정지(킬)시키는 것이 골자로 삼성은 내년 상반기 국내에서 이 기능을 도입할 예정이다.

20일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미국에서 킬 스위치 의무화 추진을 주도하는 조지 가스콘 샌프란시스코 지방 검찰총장은 AT&T와 버라이존 등 현지 이통사들이 삼성의 휴대전화 킬스위치 탑재안을 거부키로 했다고 밝혔다.

킬 스위치는 단말기에 기본 소프트웨어(SW) 형태로 장착되고 이 과정에서 이통사의 승인이 필요하다. 미국 이통사들은 킬 스위치 SW가 해킹되면 정부요인 등 표적의 휴대전화를 갑자기 ‘먹통’으로 만드는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면서 기능 도입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그러나 가스콘 총장은 이통사들이 킬 스위치가 많이 쓰이면 단말기 보험의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거부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그는 “이 솔루션(킬스위치)이 삼성 고객을 지켜줄 수 있는데 이통사들이 보험 프리미엄을 통해 빨리 돈 벌 생각에 어깃장을 놨다”고 주장했다.

킬 스위치는 도난 단말기의 재사용을 막아 휴대전화 절도와 장물 유통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미국 사법 당국이 의무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은 작년 강도사건의 3분의 1에서 휴대전화를 빼앗길 정도로 단말기 관련 범죄가 심각하다.

미국 이통사들의 이익단체인 CTIA는 이번 결정과 관련해 킬 스위치의 대안으로 단말기 데이터베이스(DB)를 개발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는 미국 내 단말기를 DB에 등록해 도난·분실이 신고되면 이통사가 서비스 개통을 거부하는 제도다. 그러나 도난 휴대전화가 국외로 반출되면 재사용을 막을 수 없어 실효성이 낮다고 NYT는 전했다.

한국 내에서 킬 스위치는 올해 2월 팬택의 스마트폰 ‘베가 No.6’에 ‘V프로텍션’이라는 이름으로 탑재되면서 첫선을 보였다. 미국에서도 애플 아이폰은 ‘액티베이션 락’이라는 킬 스위치를 제공한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올해 8월 미래창조과학부가 킬 스위치 장착 방침을 발표한 만큼 이통사와의 협력 아래 국내 모델에 내년 상반기까지 킬 스위치를 차질없이 탑재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