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학 공동 연구진 새 연구 결과 발표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총, 균, 쇠’, 이언 모리스의 ‘왜 서양이 지배하는가’와 같은 저작의 매력은 역사를 영웅과 악당의 투쟁으로 보는 관점에서 벗어나게 해 준다는 점에 있다. 그렇다면 요즘 최고 악당인 이슬람국가(IS)에도 똑같은 원리를 적용해 보면 어떨까.●“지구 온난화가 시리아 불안정 촉발”
미국 컬럼비아대와 캘리포니아대 샌타바버라캠퍼스의 공동 연구진이 지구온난화가 시리아 불안정을 촉발시켰고, 이 때문에 IS가 번창하게 됐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미 국립과학원 회보에 발표했다고 2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등이 보도했다. 다이아몬드와 모리스는 고대 메소포타미아문명의 발생을 중동 지역의 영웅들에 의한 것이 아니라 시리아를 포함한 ‘비옥한 초승달 지역’이라는 환경 조건 덕분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동일한 관점에서 본다면 IS의 발호 역시 일부 과격근본주의자들의 악행이 아니라 환경 조건의 악화 때문이라는 가설이 성립한다.
●“시리아 내전이 IS 성장 토양 작용”
공동 연구를 지휘한 클린 켈리 컬럼비아대 박사는 현재 비옥한 초승달 지역은 건기에 접어들었으나 통상적인 건기에 비해 건조하고 메마른 정도가 2~3배에 달한다는 점을 지적하며 두 가지 이유를 꼽았다. 지중해의 습기를 머금은 바람이 더이상 불어오지 않는다는 점과 증발을 유발하는 급속한 기온 상승이다. 즉 지구온난화의 영향이다. 켈리 박사는 “지난 100여년간 인간 활동 외에 기후에 영향을 끼칠 별다른 변인이 없었다”고 말했다. 지구온난화로 농업과 목축이 타격받자 시리아에서 2006년 이후 150여만명의 농민이 도시로 유입됐고, 때마침 이웃 이라크 난민까지 대거 유입되자 사회 불안이 가중되면서 20여만명의 사망자를 낳은 시리아 내전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시리아 내전은 IS 성장의 토양이 됐다.
평가는 엇갈린다. 국립대양기후연구소 기상학자 마틴 휠링은 “지구온난화와 정치적 투쟁 간 과학적 인과관계에 대한 첫 연구이기에 아주 눈여겨볼 만하다”고 평가했다. 프란세스코 페미아 기후안보센터장 역시 “막연하던 추론을 과학적 사실로 변모시켰다”고 치켜세웠다. 반면 토마스 버나우어 스위스연방공대 교수는 “엄격한 과학적 증거는 부족해 보인다”고 깎아내렸다.
조태성 기자 cho1904@seoul.co.kr
2015-03-04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