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싱턴의 참전 용사들 부산 향해 고개 숙이다

워싱턴의 참전 용사들 부산 향해 고개 숙이다

김미경 기자
김미경 기자
입력 2015-11-12 22:46
수정 2015-11-13 00:0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한국전쟁은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함께 기억해야 할 값진 승리”

“부산을 향해 서 주세요. 그리고 1분간 묵념하겠습니다.”

이미지 확대
미국 재향군인의 날인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에서 열린 행사에서 래리 키너드(가운데) 한국전참전용사협회장과 윌리엄 웨버(오른쪽) 한국전참전용사기념재단 이사장이 헌화하고 있다.
미국 재향군인의 날인 11일(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에서 열린 행사에서 래리 키너드(가운데) 한국전참전용사협회장과 윌리엄 웨버(오른쪽) 한국전참전용사기념재단 이사장이 헌화하고 있다.
미국 재향군인의 날인 11일 오후 3시(현지시간) 워싱턴DC 한국전참전용사기념공원. 참전용사 모습의 대형 동상 19개가 사람들의 발길을 붙드는 이곳에서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기리는 헌화 등 기념행사가 열렸다.

한국전참전용사협회(KWVA) 소속 노병 20여명과 그들의 가족, 주한 미대사관 무관부가 함께 개최한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 150여명이 사회자의 구령에 따라 일제히 몸을 돌려 바라본 곳은 워싱턴 기념비가 있는 북동쪽이었다. 워싱턴에서 이날 처음으로 ‘부산을 향해 묵념해 주세요’(Turn to Busan) 의식이 진행된 것이다.

국가보훈처가 전 세계에서 진행하는 행사와 연계돼 열린 이번 행사는 미군 참전용사 1만명 등이 묻혀 있는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향해 묵념함으로써 그들을 기억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었다. 래리 키너드(88) KWVA 회장은 “부산 유엔묘지에 묻힌 참전용사들을 잊지 않는다는 의미에서 첫 묵념 행사를 갖게 됐다”며 “우리는 한국전 참전용사들의 희생을 잊지 않을 것이며, 이들의 희생을 통해 얻은 자유를 지킬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을 향한 묵념 행사에는 관광객 등 공원을 찾은 많은 사람이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오하이오주에서 가족과 함께 온 미셸 켈리(55)는 한참 동안 가슴에 손을 얹고 묵념을 한 뒤 소감을 묻는 기자의 질문에 “한국전쟁을 잘 몰랐고, 부산은 더 몰랐는데 이렇게 아름다운 행사를 경험할 수 있어서 기쁘다”고 말했다.

한국전쟁에서 오른쪽 팔과 다리를 잃은 윌리엄 웨버(90) 한국전참전용사기념재단 이사장은 눈물을 글썽거릴 만큼 감격스러워했다. 웨버 이사장과 키너드 회장은 행사에 참석한 30여명의 한국 대학생과 별도로 만나 “한국전쟁은 ‘잊혀진 전쟁’이 아니라 우리 모두가 기억해야 하는 값진 승리”라고 강조했다.

웨버 이사장은 “여러분과 같은 한국의 젊은 세대를 만나니 한국전쟁에서의 우리의 희생이 아깝지 않다”고 말했다.

웨버 이사장은 “공원에 한국전쟁 전사자 이름을 모두 새긴 ‘추모의 벽’ 건립을 위해 모금 운동을 벌이고 있다”며 “연내 관련 법이 미 의회에서 통과돼 5년 내 벽이 세워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날 90세 생일을 맞은 그는 “내가 살면 얼마나 더 살겠나, 그렇지만 추모의 벽은 후세를 위해 남기고 싶다”고 강조했다.

글 사진 워싱턴 김미경 특파원 chaplin7@seoul.co.kr

이소라 서울시의원 “이태원 참사 후속···서울시 장기적 트라우마 대책 관리 주문”

최근 이태원 참사 당시 현장에 투입됐던 소방공무원의 사망 소식은 많은 이들의 마음을 아프게 했다. 서울시의회에서는 이태원 참사 3년이 흐른 지금 서울시의 대응 인력과 유가족에 대한 정신건강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서울시의회 교육위원회 이소라 의원(더불어민주당·비례대표)은 지난달 28일 열린 제332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을 상대로 “이태원 참사 이후 서울시는 소방·경찰 공무원 등 현장 대응 인력의 심리적 치유와 회복을 끝까지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최근 발생한 소방공무원의 극단적 선택은 후속 관리의 허점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전반기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할 당시 시민건강국에 미국 9·11 테러 이후 트라우마 지원사업을 2099년까지 이어가겠다고 한 것과 같이 서울시도 동일한 지원을 할 것을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이 의원은 “3년이 지났지만 유가족, 대응 인력, 현장 목격자 중 여전히 치유되지 못한 시민들이 있다”며 “서울시가 이분들을 가족처럼 끝까지 책임지고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이 의원은 “미국은 9·11 테러 이후 트라우마 지원사업을 2099년까지 이어가
thumbnail - 이소라 서울시의원 “이태원 참사 후속···서울시 장기적 트라우마 대책 관리 주문”

2015-11-1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가수 유승준의 한국비자발급 허용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가수 유승준이 한국 입국비자 발급을 거부한 처분을 취소해 달라며 낸 세 번째 소송에서도 승소했다. 다만 이전처럼 주로스앤젤레스(LA) 총영사관이 법원 판단을 따르지 않고 비자 발급을 거부할 경우 한국 입국은 여전히 어려울 수 있다. 유승준의 한국입국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1. 허용해선 안된다
2. 이젠 허용해도 된다
3. 관심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