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년간 매출 13만배’ 고속성장 비결
지난달 27일 워싱턴주 시애틀의 아마존 본사에서 갑자기 환호성이 터져 나왔다. 제프 베저스 최고경영자(CEO)가 16년 동안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 빌 게이츠가 지켜 온 ‘세계 최고 갑부’ 자리에 올라선 것이다. 이날 아마존의 주가가 한때 1083.31달러까지 오르면서 베저스의 자산 가치는 923억 달러(약 103조원)까지 치솟아 게이츠의 900억 달러(약 101조원)를 넘어섰다. 장 막판 주가 하락으로 ‘4시간 천하’였지만, 증시 전문가들은 베저스가 게이츠를 제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전망했다.
AFP 연합뉴스

제프 베저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또 2014년에는 자체 스마트폰인 파이어폰을 출시했으나 소비자의 외면으로 1억 7000만 달러(약 1912억원)의 손실만을 남긴 채 사업에서 철수했다. 2015년 아마존 데스티네이션이라는 지역 호텔 예약 서비스도 에어비앤비 등에 밀려 6개월 만에 손을 뗐다. 아마존 월렛(결제), 아마존 로컬 레지스터(결제), 아마존 뮤직 임포터(음악재생 플랫폼), 아마존로컬(부동산정보) 등 실패한 사업도 상당히 많다. 이런 실패는 ‘실패에서 많은 것을 배운다’는 베저스 CEO의 기업 철학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베저스는 “도전했다가 실패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 아닌가. 큰 성공은 수십 번의 실패가 쌓인 뒤에야 온다”면서 “CEO로서 나의 일 중 하나는 직원들에게 실패할 수 있는 용기를 주는 것”이라고 한 경제지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또 베저스는 실패가 아마존의 ‘문화’가 되도록 했다. 그는 “성공을 목표로 하면 거기서 멈춰 버린다”면서 “그러나 실패를 목표로 하면 실패할 때까지 끊임없는 혁신과 변혁이 일어난다. 오히려 지루하게 성공한 직원들이 회사에 불필요한 존재”라고 강조했다. 아마존이 현재 진행 중인 온·오프라인 융합 등 새로운 실험이 그동안의 실패 경험을 바탕으로 또다시 도약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워싱턴 한준규 특파원 hihi@seoul.co.kr
2017-08-05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