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과 합의 체결 땐 검증과정 포함돼야”

방금 들어온 뉴스

“北과 합의 체결 땐 검증과정 포함돼야”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18-04-10 21:02
수정 2018-04-11 00: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페리 전 美국방장관의 조언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은 10일 “(미국이) 북한과 체결하는 어떤 합의도 검증 과정이 포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
페리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한 포럼 기조강연에서 이같이 밝히고 “특히 북한은 검증 합의를 여러 차례 위반한 적이 있기 때문에 더 중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임동원 전 통일부 장관, 정동영 민주평화당 의원이 페리 전 장관과의 대담에 참여했다. 90년대 북핵 위기 시절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북한을 방문한 적이 있는 그는 포용을 원칙으로 한 ‘페리 프로세스’를 구상한 바 있다.

페리 전 장관은 “북한이 핵탄두를 몇 개 갖고 있는지 알기 어렵다”며 “지금도 미국은 러시아가 몇 개의 핵탄두를 가지고 있는지 알지 못한다”고 소개했다. 그는 미국과 북한이 체결할 수 있는 합의로 ‘핵무기나 부품의 해외 이송을 막는 합의’를 가능한 방법 중 하나로 제시했다.

페리 전 장관은 “미국이 북한과 새롭게 협상을 시작하면서 건설적인 회의론으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페리 프로세스를 구상한 1999년 북한은) 핵무기를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다고 확신할 수도 없었다”며 “(지금은 북한이) 핵무기를 정말 포기할 수 있을지 여부도 생각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즉각적인 비핵화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더 좋은 것을 기다리다가 좋은 것을 놓치는 실수는 해선 안 된다”고 조언했다.

반면 임 전 장관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중간선거가 있기 전에 중요한 포괄적 일괄 타결안에 합의를 보고 후속 고위급회담을 통해서 로드맵을 만들어서 실천에 들어간다면 다음 대통령 선거까지 약 2년 기간 동안에 비핵화를 할 수 있으리라 본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을지에 대해 페리 전 장관은 공화당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이 중국과의 관계를 개선시킨 ‘닉슨 효과’로 대답했다. 페리 전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과) 합의한다면 민주당뿐만 아니라 공화당의 지지도 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2018-04-11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