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알리려 학교 안 가는 툰베리, 요트로 대서양 건너 뉴욕에

기후변화 알리려 학교 안 가는 툰베리, 요트로 대서양 건너 뉴욕에

임병선 기자
입력 2019-08-29 06:26
수정 2019-08-29 09:1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웨덴의 16세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항구에 도착한 뒤 태양광 요트 말리지아 2호 옆에서 취재진에게 미국 입성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스웨덴의 16세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가 28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항구에 도착한 뒤 태양광 요트 말리지아 2호 옆에서 취재진에게 미국 입성 소감을 밝히고 있다.
뉴욕 AP 연합뉴스
10대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16·스웨덴)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대서양을 건너는 보름의 여정을 끝내고 미국 뉴욕 맨해튼에 발을 내디뎠다.

태양광 패널과 수중 터빈을 이용해 탄소를 전혀 내뿜지 않는 길이 18m의 고속 요트 말리지아 2호를 타고 지난 14일(이하 현지시간) 영국 플리머스를 떠난 툰베리는 28일 뉴욕의 코니 아일랜드를 거쳐 맨해튼 섬에 안착했다고 영국 BBC 등이 전했다. 많은 이들이 마중을 나와 “그레타”를 연호했다. 당초 전날 뉴욕에 도착할 계획이었지만 캐나다 노바스코샤 앞에서 거친 파도를 만나는 바람에 늦어졌다.

그녀는 4800㎞ 여정을 다큐멘터리로 제작해 소셜미디어에 알리며 항해해 왔다. 요트에는 아버지, 선장 보리스 헤르만, 모나코 왕가에 속한 피에르 카시라기와 스웨덴 다큐멘터리 감독인 나탄 그로스만이 함께 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요트에는 화장실이나 샤워 시설도 없고, 승선한 이들은 냉동건조식품만 먹었다.

툰베리는 취재진에게 아마존 열대우림 대화재와 관련, “너무 파괴적이고 끔찍하다. 상상하기도 어렵다”면서 “우리가 자연을 파괴하는 일을 멈춰야 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라고 말했다. 기후변화 과학을 부정하면서 반(反)환경 정책을 이어가고 있는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도 비판했다. 툰베리는 “어느 누구도 그에게 기후변화, 그 시급성을 확신시킬 수 없었다”면서 “난 그런 (환경) 의식을 확산시키는데 초점을 맞추려고 한다. 과학에 귀 기울이라는 게 그에게 보내는 메시지”라고 말했다.

그녀는 출발 전 BBC 인터뷰를 통해 이번 항해가 “기후변화 위기가 실제로 벌어지는 일”이란 메시지를 전하기 위한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그녀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의 얘기에 귀 기울이게 만들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는 간단히 “아니”라고 답한 뒤 “난 특별하지 않다. 또 모두를 확신하게 만들 수도 없다. 내가 하고 싶은 일, 가장 임팩트 있는 일을 하고 있을 뿐”이라고 답했다.

툰베리는 다음달 23일 유엔 기후 정상회의에 연사로 참석한 뒤 캐나다와 멕시코를 여행하고 오는 12월 칠레에서 열리는 COP25 기후 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다.

그녀는 금요일마다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알리고 정부나 당국의 빠른 대처를 촉구하기 위해 학교에 가지 않고 시위와 집회를 여는 운동을 시작한 10대로 유명하다. 지난해 8월 스웨덴 의회 앞에서 “기후를 위한 파업”을 처음 벌여 눈길을 끌었다.

연초에 노벨 평화상 후보로 추천된 그녀는 자폐증의 일종인 아스퍼거 증후군을 앓고 있는데 이 때문에 “상자 바깥에서 사물을 바라볼 수 있게 한다”면서 “다른 모두와 똑같이 바라본다면 난 학교 파업과 같은 일을 시작하지도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서울 강북구 삼각산동에 위치한 고갯마루어린이공원이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복합 여가 물놀이 공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노후된 시설을 전면 개선하는 이번 사업은 현재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며 8월 중 완공을 앞두고 있다. 서울시의회 이용균 의원(더불어민주당, 강북3)은 지난 7월 30일 강북구청 관계자들과 함께 공사 현장을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성공적인 사업 마무리를 위한 의지를 다졌다. 이 의원은 현장점검을 통해 주요 공정의 추진 현황을 꼼꼼히 살피며 주민 편의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번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재조성 사업은 총 15억원의 특별교부금이 투입된 대규모 사업으로, 2023년 11월부터 공사가 본격화됐다. 기존의 단순 놀이공간은 타워형 조합놀이대와 물놀이시설이 어우러진 복합 여가 공간으로 재탄생하며, 커뮤니티 가든, 휴게 데크, 순환산책로 등 주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편의시설도 함께 조성된다. 특히 어린이를 위한 안전한 물놀이 공간 확보는 물론, 다양한 세대가 어울릴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꾸며지는 점이 주목된다. 사업 초기부터 지역 주민과의 소통을 중시한 점도 이번 사업의 특징이다. 이 의원과 강북구청은 일부 주
thumbnail - 이용균 서울시의원, ‘고갯마루어린이공원’ 사계절 복합여가 물놀이공간으로 재탄생 임박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