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 테러 놓고 긴장 고조
인도, 보복 목적의 수자원 조약 중단파키스탄 “재래식·핵 모든 전력 사용”인도령 카슈미르 테러 사건을 둘러싼 인도와 파키스탄의 대립이 ‘강물 전쟁’으로 비화했다. 인도가 테러 배후로 파키스탄을 지목한 가운데 이에 대한 보복을 위해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를 막은 것이다. 파키스탄 측은 인도의 물 공급 중단을 전쟁 행위로 규정하고 ‘핵공격’까지 거론했다.
5일(현지시간) 인도 PTI통신은 인도 당국이 카슈미르 잠무 지역 체납강의 바글리하르 댐에서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강물을 막았다고 보도했다. 인도는 또 카슈미르 북부 젤룸강의 키샨강가 댐에서도 비슷한 조치를 계획하고 있다고 소식통이 전했다. 파키스탄은 이들 강을 포함한 인더스강에서 식수와 농업용수를 얻고 있어 강물이 완전히 차단되면 큰 타격을 입는다.
인도 당국은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유명 관광지 바이사란 초원에서 총기 테러로 자국민 등 26명이 사망하자 ‘인더스강 조약’을 즉각 중단하겠다고 발표했다. 인도와 파키스탄은 1960년 파키스탄으로 흐르는 인더스강 지류를 인도가 막을 수 없도록 하는 인더스강 조약을 세계은행 중재로 체결했다.
무함마드 칼리드 자말리 주러시아 파키스탄 대사는 지난 3일 러시아 관영 방송 RT와의 인터뷰에서 “(인더스강) 하류 수역의 물을 빼앗거나 막거나 다른 곳으로 돌리려는 시도는 파키스탄에 대한 전쟁 행위”라면서 “모든 전력을 포함해 총력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우리 파키스탄은 재래식 전력과 핵전력 등 모든 전력을 사용할 것”이라며 핵공격까지 언급했다.
인도는 카슈미르 테러 사건 배후에 파키스탄이 있다며 최근 인도 내 파키스탄인의 비자를 취소하고 파키스탄으로부터의 상품 수입·선박 입항·우편 교환을 금지하는 등 제재에 나섰다. 이에 파키스탄은 테러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과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섰다. 이후 두 나라 국경선에서는 10일 이상 소규모 교전이 이어지며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2025-05-06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