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정부 한국산 열연강판 반덤핑 최종 관세율 소폭 인상

미 정부 한국산 열연강판 반덤핑 최종 관세율 소폭 인상

김규환 기자
입력 2019-06-25 15:13
수정 2019-06-25 15: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미국이 24일(현지시간) 한국산 열연강판의 최종 관세율을 예비판정보다 대폭 낮추면서 철강산업의 대미 수출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사진은 열연강판을 부두로 가져가기 위해 차량에 싣는 모습. 서울신문 DB
미국이 24일(현지시간) 한국산 열연강판의 최종 관세율을 예비판정보다 대폭 낮추면서 철강산업의 대미 수출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사진은 열연강판을 부두로 가져가기 위해 차량에 싣는 모습.
서울신문 DB
미국이 한국산 열연강판의 최종 관세율을 예비판정보다 대폭 낮추면서 철강산업의 대미 수출 여건이 개선될 전망이다.

미 상무부는 24일(현지시간) 한국산 열연강판에 대한 연례재심 1차 최종판정에서 반덤핑 관세율을 포스코 10.11%, 현대제철 5.44%로 각각 부과했다. 기타 업체는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중간 수준인 7.78%로 산정했다. 반덤핑 관세율은 소폭 상승했지만 원심 반덤핑 관세율이 포스코 58.68%, 현대제철 13.38%에 달했던 점을 감안하면 크게 인하된 수치다. 열연강판은 쇳물을 가공해 나온 평평한 판재 모양의 철강 반제품인 슬래브를 고온으로 가열한 뒤 누르고 늘여서 두께를 얇게 만든 강판이다. 강관재와 건축자재 등에 주로 쓰인다.

상무부는 앞서 2016년 8월 원심에서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반덤핑 관세율을 4.61%와 9.49%로 각각 부과했다. 이후 지난해 11월 1차 예비판정에서 포스코는 7.67%로 소폭 인상했고, 현대제철은 3.95%로 낮췄었다. 포스코의 반덤핑 관세율이 소폭 오른 것은 상무부 자체적으로 마진 오류를 정정하고 미국 내 발생한 판매비용을 엄격하게 계산해 달라는 제소자의 주장이 일부 받아들인 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반덤핑 관세율과 지난 14일 발표한 상계관세율을 합친 최종 관세율은 포스코 10.66%, 현대제철 6.02%로 집계됐다.

상무부는 지난달 한국산 냉연강판에 대한 1차 연례재심 최종판정 결과도 발표했다. 포스코는 1차 예비판정 4.51%보다 1.28% 낮아진 3.23%를 최종 관세율로 받았다. 반덤핑 2.68%와 상계관세 0.55%를 합친 것이다.

김규환 선임기자 khki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