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부 115만쌍 따로 산다… ”직장·자녀교육 때문”

부부 115만쌍 따로 산다… ”직장·자녀교육 때문”

입력 2013-06-27 00:00
수정 2013-06-27 1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성부·통계청 분석..여성 6.8%만 “범죄로부터 안전”

우리나라 부부 10쌍 가운데 1쌍은 직장과 자녀교육 등 문제로 부부가 따로 사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우리 사회가 안전하다고 느끼는 여성은 11%에 그쳤으며, 범죄에서 안전하다고 느끼는 경우는 6.8%밖에 안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성가족부와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3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조사결과를 보면 배우자와 떨어져 사는 가구는 2010년 기준 115만 가구로 배우자가 있는 전체 가구의 10.0%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그 이유로는 직장 문제(72.3%)가 가장 많았고, 가족 간 불화(8.7%), 건강상 이유(6.1%), 자녀교육 지원(6.1%), 학업 문제(1.5%) 순이었다.

배우자와 함께 사는 여성이 따로 사는 여성보다 주관적 만족감, 가족생활 만족도,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 모두 더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비율은 배우자와 함께 사는 여성(60.0%)이 따로 사는 여성(47.6%)보다 높았고, ‘이혼을 해선 안 된다’는 비율도 함께 사는 여성(47.4%)이 따로 생활하는 여성(34.7%)보다 높았다.

가사 분담에 대한 생각을 보면 ‘부부가 공평하게 분담해야 한다’는 대답은 남편과 따로 사는 여성이, ‘부인이 주로 하지만 남편도 같이해야 한다’는 의견은 배우자와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더 많았다.

남편과 따로 사는 여성은 상대적으로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술도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안전도 인식 조사에서는 여성의 11.2%만이 ‘전반적으로 안전하다’고 느낀다고 답했고, ‘범죄위험에서 안전하다’는 응답은 6.8%에 그쳤다.

여성긴급전화(1366)에 접수된 22만3천건의 상담 가운데 가정폭력이 전체의 42.6%로 가장 많았고, 다음이 성폭력(5.4%), 가족문제(4.6%), 부부갈등(3.9%)이었다.

올해 총인구 5천22만명 중 여성이 2천508만7천명(49.95%)로 남성인구에 근접했으며, 여성인구 중 연령별 비중은 60세 이상(19.3%)이 가장 높았다.

전체 가구 중 여성 가구주 비율은 27.4%였다.

2012년 여성의 평균 초혼연령은 29.4세로 2010년(28.9세)보다도 0.5세 높아졌고, 전체 이혼 중 20년 이상 결혼생활을 한 부부 비중이 26.4%로 2000년(14.2%)보다 12.2% 포인트 증가했다.

출산율은 30∼34세가 121.9명(여성인구 천명당)으로 가장 높은 가운데 20대 출산율은 계속 감소하고 40대 초반과 30대의 출산율은 높아지는 추세를 보였다.

출생성비(여자 100명에 대한 남자 수)는 105.7로 정상 수준(103-107)을 유지했고, 1990년 193.3이던 셋째 출생성비는 지난해 109.2로 정상 성비에 가까워졌다.

여성의 기대수명은 2011년 기준 84.5년으로 남성(77.6년)보다 6.8년 길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12년 49.9%로 남성보다 23.4% 포인트 낮았다. 여성 임금은 남성의 68.0% 수준이었으며, 임시직과 일용직 비중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4년 여성은 전체 취업자 중 ‘서비스 종사자’(18.6%)가 가장 많았다가 작년에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21.1%) 비중이 가장 높아졌다.

15∼54세 기혼여성 가운데 임신·출산·육아 등으로 사회경력이 단절된 여성 비율은 20.3%였고, 육아휴직 사용자는 여성 6만2천281명, 남성은 전체의 2.8%인 1천790명이었다.

배우자가 있는 전체 가구의 맞벌이 비율은 43.5%로 파악됐다.

여학생의 대학진학률은 74.3%로 남학생(68.6%)보다 높았고, 남녀간 진학률 격차는 계속 벌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의료분야의 여성 비율은 약사 64.0%, 의사 23.0%, 한의사 17.4%였고, 초등학교 교사는 여성 비율이 76.2%에 달했다.

일반직 4급 이상 국가공무원의 여성 비율은 7.3%, 여성의 국회의원 당선자 비중은 15.7%, 지방의회의원 당선자는 20.3%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