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문학상은 ‘향수’, ‘유리창’을 쓴 한국 현대 시의 선구자인 정지용 시인을 기리기 위해 지용회가 선정해 시상하는 상으로 지난 한 해 동안 시작 활동이 활발한 시인을 선정한다.
이미지 확대
최동호 시인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최동호 시인
수상작인 최 시인의 ‘어머니 범종 소리’에 대해 오세영 시인은 “3행 4연의 정형시적 특성, 서사적 내용, 낭독시에 적합한 언어의 음악성, 토속적 상상력이 주는 미의식이 드러난 시”라며 “청각과 시각을 결합한 미의식으로 쉬우면서도 깊은 사유의 공간을 천착했다”고 평했다. 이숭원 문학평론가는 “과거에는 그냥 지나쳤지만 지금 떠올릴수록 미약한 마음을 달래주는 기억 속의 소리를 산사의 새벽 범종 소리로 환유하는 시인의 상상력이 온유하고 너그럽다”고 했다. 오형엽 고려대 교수는 “최 시인이 초기 시에서부터 추구해온 ‘순간의 시학’과 ‘통합의 정신’이 몇 번의 발전 단계를 거쳐 원숙한 경지에 진입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고 평했다.
최 시인은 “서정시의 길을 지키는 굳건한 힘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은 지용에게서 서정시의 정도를 배웠기 때문”이라며 “정지용문학상 수상은 ‘아직 늦지 않았다. 오직 시에 집중하라’는 운명적인 화두를 던진 것이라 믿는다. 서정시의 구극을 추구하는 단독자의 외로움을 견디며 더 앞으로 걸어 나가겠다”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상금은 2000만원이며 시상식은 오는 9월 24일 충북 옥천군 옥천전통문화체험관에서 열린다.
윤수경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우리 국민의 평균 수면 시간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줄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 반면 유튜브와 넷플릭스 등의 이용자가 늘면서 미디어 이용 시간은 급증했다. 결국 SNS와 OTT를 때문에 평균수면시간도 줄었다는 분석이다. 당신은 하루에 SNS와 OTT에 얼마나 시간을 소비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