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스24 홈페이지에 시스템 점검 안내 공지사항이 올라와 있다. 홈페이지 캡처
국내 최대 온라인서점 예스24가 해킹 공격을 받아 나흘째 접속이 마비된 가운데,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당국의 조사가 본격화됐다. 이용자 수가 2000만명을 넘는 만큼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12일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예스24가 랜섬웨어 공격을 받은 뒤 일부 회원 정보가 비정상적으로 조회된 정황을 확인해 조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예스24는 이날 홈페이지를 통해 “현재까지 외부 유출 정황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만에 하나의 가능성에 대비해 공지하는 것”이라며 “유출 확인 시 개별 연락하겠다”고 안내했다.
예스24의 앱과 홈페이지는 지난 9일부터 접속 불가 상태다. 해커는 서버 구동에 필요한 설정 파일과 스크립트 파일을 직접 노린 것으로 알려졌다. 예비용 백업 서버까지 정상 작동하지 않아 복구는 지연되고 있다.
예스24 측은 이르면 12일 중 공연 입장 시스템부터 순차적으로 복구하고, 늦어도 일요일까지는 전면 정상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사태로 인한 책 주문·공연 예매 지연, e-book 구매자 불안, 고객 신뢰도 하락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찰도 내사에 착수해, 해킹 경위와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포함한 광범위한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동종 업계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알라딘은 보안 상태를 긴급 점검하고, 교보문고 역시 관련 시스템 점검에 돌입했다. 업계 전반의 보안 불감증이 도마에 오른 가운데, 해킹 방어 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이 불가피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