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청, 무령왕릉 동쪽 무덤 연구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묘역 2호분에서 출토된 금귀걸이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묘역의 2호분 주인이 개로왕(백제 21대 왕)의 직계 후손 중 유일하게 10대에 죽은 삼근왕(23대 왕)으로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는 17일 서울 중구 한국의집에서 백제 웅진기 왕들의 묘역인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에 관한 조사 성과 언론 공개회를 열었다.
해당 묘역은 일제강점기에 모두 도굴된 상태로 한 차례 조사가 진행된 바 있으나 연구소는 96년 만인 2023년 9월부터 재조사에 돌입했다. 왕릉원 1~4호분은 무령왕릉 묘역과 구분돼 북동쪽에 있으며 동쪽에서부터 시작해 1~4호분이 나란히 배치돼 있다.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묘역 2호분에서 출토된 어금니
가장 큰 성과는 2호분 주인을 밝혀 낸 것이다. 연구소는 화려한 금귀걸이와 함께 출토한 어금니(2점)가 법의학 분석 결과 10대 중후반 연령대의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2호분 주인이 14세에 죽은 개로왕의 손자 삼근왕으로 추정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또 백제가 웅진기 초기부터 이미 굳건한 정치 체계를 확립하고 활발한 대외 교역을 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유물들과 왕실의 무덤 구조, 묘역 조성 과정을 확인했다. 한성기에서 웅진기로 이어지는 백제 왕실 무덤은 내부 벽면에 석회를 바르고 바닥에 강자갈을 채웠다. 지하에 만들어진 무덤 속 굴식 돌방무덤(측면에 입구와 복도를 설치한 무덤)은 천장을 돌 한 장으로 덮는 ‘궁륭식’ 구조로 확인됐다.
또한 웅진기 초기에도 백제의 대내외 정치 체계가 굳건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유물이 대거 출토됐다. 특히 2호분에서는 화려한 유물이 대거 출토됐는데, 청색 유리옥이 달린 정교한 금귀걸이의 경우 백제 초창기인 한성기의 귀걸이와 웅진 후반기(무령왕릉) 왕비 귀걸이의 중간 형태로 보인다.
연구소는 “당시에도 백제 왕실이 이미 높은 수준의 금세공 기술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며 “또 은에 금을 도금해 줄무늬를 새긴 반지는 같은 형태가 경주 황남대총 북분에서도 출토된 바 있어 웅진 초기 백제와 신라의 긴밀한 관계를 짐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철에 은을 씌운 오각형 형태의 칼 손잡이 고리 장식은 앞서 나주와 논산에서도 발견된 바 있는데, 당시 왕이 지방 수장층에게 하사한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유리옥 1000여점도 수습됐는데 이 중 황색과 녹색 구슬에 사용된 납 성분은 무령왕릉과 동일하게 산지가 태국으로 분석돼 당시 백제가 동남아시아를 아우르는 광범위한 교역망을 운영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황인호 국립부여문화유산연구소 소장은 “그동안 정치적 혼란기로만 인식됐던 웅진기 전반부터 백제는 이미 내부 정치 체계와 대외 교역망을 잘 유지하며 안정적으로 운영됐던 것으로 보인다”며 “이를 발판으로 웅진 후반기에 속한 무령왕이 ‘갱위강국’(다시 강국이 되었음)을 선언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06-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