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밤새들의 도시’ 펴낸 김주혜
지난해 ‘톨스토이 문학상’으로 주목발레 이야기로 예술 향한 희생 담아
영어로 글 쓰지만 정체성은 한국인

연합뉴스
소설가 김주혜.
연합뉴스
연합뉴스
영어로 쓰인 소설에 유장하고 내밀한 ‘한국의’ 이야기가 담겼다. 그렇다면 이것은 한국문학인가, 아닌가. 일제강점기를 배경으로 한국 현대사의 아픔을 감각적인 문체로 짚었던 첫 장편 ‘작은 땅의 야수들’로 지난해 러시아 톨스토이문학상을 품은 한국계 미국 소설가 김주혜(38)를 둘러싸고 한국문학의 외연에 관한 물음이 던져진다.
신작 ‘밤새들의 도시’(다산북스)로 돌아온 김주혜를 17일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있는 한 호텔에서 만났다. 이번에는 발레에 관한 소설이다. 어쩌면 신기루에 불과할지도 모르는 예술. 짧은 생을 살다 가는 인간은 그것을 위해 어디까지 자신을 내던질 수 있는가. 작가의 말에 김주혜는 이렇게 쓰기도 했다. “내 모든 작품의 출발점은 언제나 마음이 아파오는 느낌이다. 갑작스러운 폭풍처럼 가슴 깊은 곳에서 솟구쳐 오르는, 인생에 대한 어떤 통찰.” 작가는 무엇이 그리도 아팠을까.
“절규하고 싶었어요. 얼마나 많은 희생을 해야 진정한 예술가가 될 수 있는가. (소설가로서) 그런 경험과 감정을 겪었기 때문에, 그 과정을 담고 싶었어요. 예술가와 예술 사이의 사랑 이야기. 저한테는 그런 의미가 있는 작품이에요. 전쟁, 기아 등 인류가 맞이한 큰 위기의 시대에 순수예술을 하면서도 정직하고 떳떳하게 살아갈 수 있는지. 그에 대한 해답을 찾는 과정이었습니다.”
무용수 나탈리아는 강력한 인정 욕구로 삶을 추동한다. 한때 정점에 섰던 그는 치명적인 사고를 당하며 바닥으로 주저앉는다. 삶도 예술도 비상이 있으면 낙하도 있는 법. 그러나 높은 곳에 올라 봤던 이는 그곳을 으레 그리워하기 마련이다. 그 순간이 아무리 짧을지라도. 예술을 위해 모든 걸 희생할 수 있는 나탈리아의 열정은 김주혜가 문학에서 느끼는 것과도 닮았다.
실제 김주혜는 어렸을 때 발레를 배웠다고 한다. 무용과 클래식은 그의 삶에서 언제나 영감의 원천이 됐다. 작가는 전작을 안톤 브루크너 ‘교향곡 8번’에, 이번 작품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의 ‘피아노 협주곡 23번’에 비유했다. 한없이 신성하고도 지극히 인간적인 것, 사랑. 이것이 모차르트의 작품과 ‘밤새들의 도시’가 만나는 지점이라고 김주혜는 생각했다. 스스로 레프 톨스토이, 표도르 도스토옙스키를 비롯한 러시아 문학에서 깊은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 영어로 소설을 쓰지만, 작가의 중심에는 ‘한국적인 것’이 강하게 들어차 있었다. ‘김주혜의 문학은 한국문학인가.’ 이 질문에 그는 이렇게 대답했다.
“저는 그 대답을 찾고 있는데요. 처음부터 저는 단 한 번도 ‘한국계 미국 소설가’라고 생각한 적 없습니다. ‘한국인 소설가’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더욱 그렇다는 걸 알게 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 공부하면서 왜 나한테 모범이 되는 지성인이 없었나 고민했었는데요. 사실 그들은 한국에 있었습니다. 제가 모범으로 삼고 싶은 지성인의 모습을 김지하를 비롯한 한국의 시인과 소설가들에게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2025-06-18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