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日 고덕원과 약정
양식·규모 등 왕실 건축물로 추정1924년 일본인에 의해 도쿄로 반출
부재 양도… 건물 전체 옮긴 건 처음
“국교 정상화 60년, 문화 연대 상징”

국가유산청 제공
조선 왕실의 사당으로 추정되는 ‘관월당’의 해체 전 모습. 일제강점기 일본 도쿄 인근 가마쿠라에 있는 사찰 고덕원 경내로 옮겨졌으며 지난해 해체되기 전까지 관음보살상을 봉안한 기도처로 활용됐다.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조선 왕실의 사당 건축물로 추정되는 ‘관월당’(観月堂)이 일본으로 반출된 지 약 10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다. 해외로 유출된 우리 건축물이 통째로 돌아온 건 이번이 처음이다.
국가유산청은 24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관월당 언론 공개회를 열고 이 같은 사실을 알렸다.
국내 전문가들에 따르면 관월당은 조선 왕실 관련 사당 건축물로 추정된다. 정면 3칸·측면 2칸 규모의 조선 후기 목조 건축물로, 맞배지붕 단층 구조를 갖추고 있다. 이경아 서울대 건축학과 부교수는 “조선 왕들의 생모 7인의 신위를 모신 사당인 칠궁의 약 70% 규모로 대군 사당인 청권사와 지덕사의 중간쯤에 있으나 의장의 격식 면에서는 이들보다 더 높다”며 “지붕 측면에 설치한 까치발인 초엽, 지붕 하부에 설치한 덩굴무늬 조각 장식인 초각 등에 적용된 기법으로 보아 18~19세기 왕실 관련 사당 건축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단청을 연구하는 손현숙 국가유산청 문화유산전문위원은 “구름 모양의 운보문, 국화문 등에서 건물의 높은 위계를 알 수 있으며 태극문 등을 통해 유교 건축 양식임을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 제공
경기 파주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으로 옮겨진 관월당 부재의 모습. 부재는 철물, 기와, 목재를 합쳐 약 5000점에 이른다.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제공
관월당은 일제강점기에 설립된 특수은행 조선식산은행이 1924년 야마이치 증권의 초대 사장 스기노 기세이(1870 ~1939)에 증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해체 작업을 거쳐 일본 도쿄로 옮겨졌고 1930년대 들어 스기노가 도쿄 인근 가마쿠라의 사찰 고덕원에 기증하면서 그 경내로 이전돼 관음보살상을 봉안한 기도처로 활용돼 왔다.
국가유산청과 국외소재문화유산재단은 지난 23일 고덕원과 약정을 체결하고 관월당의 부재(部材)를 정식으로 양도받았다. 2019년부터 관련 논의를 진행한 끝에 약 6년 만에 모든 부재를 양도받는 데 성공했다. 앞서 2010년 불교계를 통한 관월당 귀환 추진이 한 차례 진행됐지만, 최종 무산된 바 있어 이번 논의는 더 조심스럽게 진행됐다.

관월당 귀환에는 사토 다카오 고덕원 주지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 그는 2002년 고덕원 주지를 맡으며 관월당을 돌려보내는 게 맞다고 생각해 먼저 한국 측에 연락을 취했다고 한다. 게이오대 민족·고고학과 교수이기도 한 그는 관월당 해체 및 운송 등과 관련해 국가유산청이 제반 비용을 제공할 의사를 밝혔음에도 일본 내에서의 비용을 직접 부담했다. 이날 한국 언론과 만난 사토 주지는 “본래의 가치를 온전히 회복하길 바라는 마음이 컸으며 이 건물이 고인을 기리는 사당이라는 점에서도 원래 자리와 가까운 곳으로 가는 게 맞다고 생각했다”면서 “제국주의 시절 식민지에서 반출한 유산을 반환하는 것은 세계적인 흐름”이라고 말했다.
해체 작업은 지난해 진행됐다. 한국으로 옮겨진 부재는 경기 파주 전통건축수리기술진흥재단 수장고에 보관 중이다. 완벽한 형태의 복원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상량문(건물을 짓게 된 동기와 내력 등을 담은 축문)이 발견되지 않아 원래 명칭이나 정확한 위치, 누굴 위한 사당인지 등은 연구를 통해 풀어야 할 우선 과제다. 국가유산청은 순정효황후 윤씨의 본가(송현동), 창의궁지(통의동), 월성위궁지(적선동) 등을 원래 자리로 추정하고 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에 이뤄진 이번 귀환이 양국 간 문화적 연대와 미래지향적 협력의 상징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06-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