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쿨렐레가 만든 행복한 소리, 놓쳐버린 야구의 꿈보다 달콤”

“우쿨렐레가 만든 행복한 소리, 놓쳐버린 야구의 꿈보다 달콤”

입력 2013-09-26 00:00
수정 2013-09-26 00: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연주자 칼레이 가미아오 방한

“우쿨렐레가 인기 있는 이유요? 행복한 소리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죠.”

우쿨렐레 팬들이 반색할 스타 연주자 칼레이 가미아오(26)가 말하는 우쿨렐레의 매력이다. 오는 28일 ‘우쿨렐레 페어&페스티벌’ 공연과 29일 워크숍, 미니 콘서트에 참가하기 위해 한국에 올 그를 이메일로 미리 불러냈다.

이미지 확대
칼레이 가미아오
칼레이 가미아오
우쿨렐레의 탄생지인 미국 하와이 출신인 가미아오는 요즘 떠오르는 신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우쿨렐레의 신’이라 불리는 제이크 시마부쿠로를 잇는 2인자라는 의미에서 ‘포스트 제이크’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뛰는 벼룩’는 뜻의 하와이 말에서 유래한 우쿨렐레는 벼룩처럼 작고 통통 튀는 소리를 가진 악기다. 전통적으로 하와이 전통 춤인 훌라 댄스 공연에서 연주됐지만 이젠 전 세계에서 다양한 장르의 음악에 쓰인다. 그는 “우쿨렐레는 하와이 사람들의 자부심이기도 하지만, 요즘은 한국뿐 아니라 중국, 일본, 영국, 프랑스, 호주, 러시아 등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다”며 그 이유를 악기의 따뜻하고 순수한 소리에서 찾았다.

“우쿨렐레의 자연스러움은 행복한 소리를 만들어 내요. 우쿨렐레 연주를 듣고 금세 미소를 짓게 되는 건 그래서죠. 음악적 경험이 있고 없고를 떠나, 종교와 언어의 차이를 넘어 우쿨렐레는 사람들을 함께 어울리게 하는 힘을 갖고 있어요.” 네 살 때부터 키운 그의 꿈은 원래 야구선수였다. 하지만 13살 때 팔꿈치 관절에 부상을 입으며 야구를 포기해야 했다. 이때 그의 부모님이 건네준 우쿨렐레 강습에 관한 신문 광고가 그의 삶을 바꿔 놓았다. “제가 힘들어하는 걸 보다 못한 부모님이 한번 배워 보라고 권유하셨던 건데, 첫 연주에서 악기에 완전히 매료됐죠. 이젠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됐어요.”

이후 종일 연습을 하느라 우쿨렐레를 안고 잠든 날도 숱하다. 그가 세계 곳곳을 무대로 활동하게 된 배경이다. “한국 관중은 항상 기운이 넘치고 음악에 푹 빠져들기 때문에 한국 공연이 더욱 기대가 된다”는 가미아오. 오늘도 집에서 거리에서 우쿨렐레 줄을 튕기는 한국의 아마추어 연주자들에게 그가 건네는 팁은 간결하지만 함축적이다. “우쿨렐레를 연주할 때는 늘 즐겁다는 걸 기억하세요. 물론 음악은 즐기기 위한 것이지만, 연습은 그 음악을 완벽하게 다듬어 준답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3-09-26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0월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할까요?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
1.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해야한다.
2. 10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필요없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